
경북 안동시와 예천군 경계에 조성된 도청신도시 모습. <영남일보 DB>
"공짜로 주는 돈에 토 달긴 뭐하지만, 그래도 치킨 한 마리 값인데…." 정부가 인구감소지역 주민에게 '민생회복 소비쿠폰' 5만원을 추가 지급하기로 한 가운데, 같은 지역에 살면서도 행정구역이 달라 지원금이 달라지는 '불공평'이 생긴 곳이 있다. 안동 풍천면과 예천 호명읍 일원에 조성된 경북도청신도시의 주민은 자신이 거주하는 행정구역에 따라 추가 지급금을 받기도 하고 못 받기도 한다. 3면에 관련기사
정부는 행정안전부 누리집에 적시된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도시지역 자치구 5곳을 제외한 84곳을 추가 지급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안동은 포함되고, 예천은 제외됐다. 도청신도시 일부 주민은 이 같은 결과를 두고 고개를 갸웃한다. 두 지역은 행정구역상 구분되지만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의료·교육·교통 인프라 및 상징성 측면에선 오히려 안동의 시세(市勢)가 우세하기 때문에 혜택을 줘도 예천에 줘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가 인구감소지역을 판단하는 기준은 '얼마나 시골처럼 보이느냐'가 아닌 '인구 변화율'이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현황에 따르면 안동은 2015년 16만9천221명에서 2025년(6월) 15만3천754명으로 10년간 9.1% 감소했다. 반면 예천은 2015년 4만4천674명에서 2025년(6월) 5만4천117명으로 21.1% 증가했다. 이로 인해 안동 풍천면 주민은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돼 1차 지원금액에 5만원을 추가 지급받고, 예천 호명읍 주민은 비수도권 일괄 추가지급분인 3만원만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2만원 차이가 난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22일 '민생지원금으로 알아보는 대한민국 공식 시골'이라는 글이 올라 왔다. 글쓴이는 "예천 같은 곳도 완전히 시골인데, 감소지역에선 벗어난 거 보면 현실과 조금 다르긴 하다"고 지적했다. 예천군 관계자는 "인구감소지역분 소비쿠폰을 못 받는다는 점보다 인구가 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주민도 많다"면서도 "다만 현재는 약간의 인구 정체시기"라고 했다.
한편 예천의 이례적인 인구 증가는 2016년 경북도청신도시 건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도청이 안동·예천 경계지역으로 이전하면서 아파트·상업시설·학교·의료기관 등 기반시설이 들어섰고, 외지 인구도 대거 유입됐다. 특히 1단계 개발 당시 주거시설이 예천 쪽에 집중되면서 인구 증가에 더욱 탄력이 붙었다. 지난해부턴 '호명면'이 '호명읍'으로 승격되면서 위상도 높아졌다.
하지만 이 같은 증가세만을 근거로 예천이 인구소멸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이라 볼 순 없다. 신도시 거주민 다수는 신도시 내부에서 직장·주거·교육·여가 등을 해결하지만, 신도시를 벗어난 예천 지역은 인구소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당장 2015년(4만4천674명)부터 2022년(5만5천755명)까지 완만하게 오르던 인구 증가세는 2023년(5만5천325명)을 기점으로 한풀 꺾였고, 이후 감소세로 전환했다. 2단계 도청 신도시 사업도 부동산 경기 등 영향으로 정체된 상태다.

서민지
디지털콘텐츠팀 서민지 기자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