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직 전기차를 사기엔 너무 이르다."
2년 전 신차 구매를 고민할 때 들었던 말이다. 전기차가 지니는 여러 불편함을 감수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주변의 만류에 보편적인 내연기관 차를 선택했다.
현재 전기차 보급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올해 2분기 기준 대구경북 전기차 등록 대수는 총 3만4천183대로 1%를 넘어섰다. 이제 거리를 지나는 차량 100대 중 1대는 전기차인 셈이다. 전기차 외에도 수소차, 하이브리드차를 더한 친환경 차로 범위를 확대하면 비중은 5.4% 수준이다.
시대적 추세에 따라 앞으로 친환경 차 시대로 전환되는 속도는 더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완성차 업체들은 하나둘 내연기관 차량 사업을 축소하거나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 우리 정부도 '2035년 무공해차 전환 목표 설정 추진'을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친환경차 보급 확산에 갖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장밋빛 청사진만 늘어놓기는 상황이 그리 녹록지 않다. 해결해야 할 문제도 산적해서다.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은 보조금 상한선 하향 조정에 부정적 반응을 보인다. 게다가 핵심 부품인 배터리 관련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전기차 가격도 덩달아 널뛰는 추세다. 보조금이 줄어드는 가운데 이른바 '전기차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는 바람에 전기차 보급 전선에 먹구름이 낄 수 있다.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동시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친환경 차에서 제외하는 문제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그동안 친환경 차로 누렸던 혜택이 철회된다면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시들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한때 전기차의 대항마로 주목받았던 수소차는 보급 동력이 떨어진 상태다. 한계로 지적되는 내구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드높다.
특히 부족한 인프라에 대한 지적이 많다. 친환경 차 수요에 맞춰 충전소를 확충하고 있다. 근본적으론 한 번의 충전으로 충분한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야 운전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잇단 인명사고로 커진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 해소도 숙제로 남아있다.
기술혁신은 우리 삶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다. 앞서 세 차례 산업혁명을 통해 기술적 진보를 이뤄냈고 현재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과도기에는 부작용이 따르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현 시점에선 보다 현명한 대처가 요구된다.
정우태기자〈경제부〉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