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포항시 "자발적 복구 불가능, 국가 지원 절실"…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 협의

  • 구경모
  • |
  • 입력 2022-09-15 10:20  |  수정 2022-09-16 08:52  |  발행일 2022-09-15
[단독] 포항시 자발적 복구 불가능, 국가 지원 절실…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 협의
추석 연휴인 11일 태풍 힌남노 피해 지역인 경주시 암곡동 왕산마을에서 수재민과 경주시 관계자들이 피해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단독] 포항시 자발적 복구 불가능, 국가 지원 절실…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 협의
포항시 제공.

포항시가 14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협의에 나섰다. 경북도의 공식 신청 전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위기선제대응 지역 지정 신청은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하게 돼 있다.


포항시는 산업위기선제대응 지역 지정의 이유로 철강 산업의 피해를 강조하며 자발적 복구는 불가능하다고 정부 지원을 호소했다.

포항시는 이날 산업부 담당 실무자를 만나 이같이 요청하면서 태풍 피해·복구 지원등과 관련된 자체 계획안도 제출했다.

포항시는 산업부와의 협의에서 "포항 철강산업은 중국, 인도 등 후발국들의 거센 도전과 글로벌 경기침체로 실질 지역내총생산(GRDP)과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위기를 맞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이번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폭우로 포스코, 현대제철, 포항철강산업단지가 직격탄을 맞았다"라고 밝혔다.

이어 포항시는 "포항 철강산업의 위기는 포항 뿐만 아니라 국내 건설, 자동차, 조선, 전기 전자, 조립금속, 일반기계 등 국내 연관 산업에도 큰 피해를 입히는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인식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자발적 복구외 회생은 불가능하다고도 했다.

포항시는 "철강산업의 위기로 포항지역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자발적 복구와 회생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악화됐다"라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통해 지역산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지원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라고 호소했다.

또 포항 철강산업 위기 극복이 국내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도 했다.

포항시는 "포항 철강산업 위기극복은 지역경제 회생뿐만 아니라 건설, 자동차, 조선을 비롯한 국내 기간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라며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8조 제2항에 따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한다"라고 했다.

한편,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은 지난해 8월 제정된 '지역산업위기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해 예상치 못한 대내외 충격 등으로 지역 주력 산업의 현저한 악화가 예상될 경우 산업부 장관이 지정하도록 돼 있다.

특별법과 시행령에 따르면 대규모 재해가 발생한 경우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돼 시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경우가 지정 요건이다. 포항시는 지난 7일 경주시와 함께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요건을 갖췄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자금·융자 등 금융·재정 지원 △연구개발 지원 및 성과 사업화 지원 △국내 판매, 수출 지원과 경영·기술·회계 관련 자문 △재직근로자 교육훈련 및 실직자·퇴직자 재취업교육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