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안동시 풍산읍 상리에 위치한 체화정(경북 유형문화재 제200호·사진)에 배롱나무 꽃이 활짝 피어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무더위를 이겨내고 곱게 꽃을 피운 배롱나무를 보면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체화정은 조선 효종 때 진사 만포 이민적(李敏迪) 선생이 세운 정자로 학문을 닦던 곳이다. 그후 순조 때 국가에서 충신·효자·열녀를 기리기 위해 마을에 정문을 세우는 정려(旌閭)를 받은 이한오(李漢伍) 선생이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효도하던 곳이기도 하다.
이곳은 이민적 선생이 그의 형인 옥봉 이민정(李敏政) 선생과 함께 살면서 우애를 다지던 장소로 유명한데, 이로 인해 정자 앞 연못의 이름을 '체화지'라 지은 것으로 보인다.
'체화'란 형제간의 화목과 우애를 상징하는 뜻으로 '시경'에서 그 의미를 따왔다. 연못에는 삼신산을 상징하는 세 개의 인공섬인 방장(方丈), 봉래(蓬萊), 영주(瀛州)가 있으며,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 연못 조성 수법은 조경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체화정 현판 뒤로 보이는 '담락재(湛樂齋)' 글씨는 조선 제일의 화가였던 단원 김홍도의 글씨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