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된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금금리가 올랐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은행 및 통계청 등에 따르면 8월 예금은행 저축성 수신금리(신규취급액 기준 가중평균 금리)는 연 2.98%다.
지난 1월 1.65%에 불과했던 저축성 수신금리는 2월 1.70%, 3월 1.74%, 4월 1.87%에 이어 5월(2.02%)엔 2%대로 올라섰다. 수신 금리는 6월 (2.41%), 7월( 2.93%) 계속 오름세를 보이다가 8월엔 3%에 근접하게 됐다.
저축성 수신금리 상승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한은은 지난해 8월 0.25%포인트를 시작으로 이달까지 모두 여덟 차례 인상을 단행해 기준금리가 연 3.00%까지 높아졌다. 아직 8월과 10월 기준금리 인상이 반영되지 않은 만큼 9월 이후 저축성 수신금리는 더 가파르게 상승할 전망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금리를 크게 웃돌고 있다. 지난 8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4.4% 상승해 8월 기준 실질금리는 -1.42%(2.98%-4.4%)로 집계됐다. 은행에 예·적금을 들었더라도 물가 상승분만큼 이자를 받지 못해 실질적으론 손해로 이어진 셈이다.
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5%대에 머물 것으로 전망돼 올해 연간 실질금리는 지난해에 이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된다. 2018년 0.37%, 2019년 1.35%, 2020년 0.55% 등 1% 전후를 기록하던 실질금리는 물가 상승이 시작된 지난해(-1,42%)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관련 자료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6년 이래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해는 2011년(-0.31%)과 2017년(-0.34%) 그리고 2021년(-1.42) 등 세 차례다.
문제는 주식 및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어 은행 예·적금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투자처라는 점이다. 한은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천245조4천억원으로 전달보다 36조4천억원 늘었다. 특히 정기예금은 200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월 기준 최대 증가 폭인 32조5천억원 급증했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주가 및 주택 가격 하락이 상당기간 이어진 만큼 안정적으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예·적금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