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주목걸이와 진주장식 의상을 한 17세기 귀족의 초상화(1626). |
'매니시' 패션의 흐름과 변화
16~18세기 유럽 귀족은 레이스·보석으로 치장
1차 산업혁명 이후 권위 상징인 장식성 줄어
2차 산업혁명 이후 현대화 영향 기능성 중시
1960년대 이후 성별 경계없는 '유니섹스' 등장
21세기 취향껏 스타일링 성적 고정관념 타파
![]() |
약 2개월 전 영화배우 이정재씨가 한 TV 프로그램에서 연한 분홍색의 재킷과 다소 굵은 알의 진주목걸이를 하고 나온 것을 본 적이 있다.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내내 약간의 어색함과 함께 그 어색함에 대한 자기반성을 했다. 생각해 보면 이미 지드래곤이나 샤이니의 키라는 강인한 남성의 모습이나 근육이 많이 발달한 모습이 아닌, 패션을 즐기는 젊은 남성 연예인들의진주목걸이를 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때는 전형적인 남성의 모습보다 트렌드를 앞서나가는 이들의 모습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배우 이정재의 모습은 평소 색다른 패션 스타일로 나오긴 했으나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여준 전형적인 남성 정장의 모습이 많아, 그가 우아한 여성 패션의 대표적 품목인 진주목걸이(그것도 알이 굵은)를 한 모습에 어색함과 동시에 새로운 모습의 제시와 변화해 가는 문화적 분위기가 반갑기도 하였다.
남성스러운 패션은 어떤 것일까? 16세기 영국의 헨리8의 초상화나 17세기·18세기 유럽의 초상화를 보면 남성 귀족의 패션에서 그들의 높은 계급과 권위, 재력을 표현하기 위한 레이스·자수·보석 등의 화려한 장식의 의상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1차 산업혁명 이후 봉건사회에서 상업의 발달로 신생 부유층이 나타나면서 남성 패션에서는 귀족적 표현이었던 장식성이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 |
중절모와 슈트의 1950년대 남성 패션. nextluxury.com |
이후 사회문화적 변화와 지속적인 페미니즘 운동으로 1960년대 유니섹스(unisex)라는, 남성과 여성의 구분이 없는 패션이 나타나고, 이후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 등 문화적 경향과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로 1980대는 앤드로지너스(androgynous) 룩이 정착하게 되었다. 앤드로지너스 룩은 성별 구분이 없는 유니섹스와 달리 전형적인 남성 패션 혹은 남성을 상징하는 패션 품목을 여성이 착용하거나, 반대로 여성을 상징하는, 전형적인 여성 패션 품목을 남성이 착용하는 것으로 성별의 해체라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남성과 여성은 분명히 생물학적 차이가 있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성별의 차이가 아닌) 자신을 꾸미고 패션으로 표현하고 싶은 마음은 동일할 것이다. 100세 시대, 표현의 시대에 이제 더 많은 남성이 검정·남색·회색의 의상에서 벗어나 더욱 적극적으로 다채로운 색과 패션 스타일을 선택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사회문화적 분위기를 기대해 본다.
<계명대 패션디자인과 교수>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