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토교통부 제공. |
![]() |
성주~대구 간 고속도로 위치도. 경북도 제공 |
기획재정부는 26일 최상대 2차관 주재로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2022년 3차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국토부·농식품부·환경부·복지부 등 4개 부처의 6개 사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에는 고속국도 제20호 성주~대구 신설사업이 포함됐다. 고속도로 사업으로는 유일하다. 대구·경북 광역생활권 교통수요 대응 및 영·호남 간 도로 연결성 강화를 위한 핵심사업으로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년)'에 중점사업으로 반영된 구간이다. 향후 조사수행기관(KDI·조세연) 선정, 전문 연구진 구성 등 사전 절차를 거쳐 1~2개월 이내에 예타사업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성주~대구 고속도로 사업은 성주군 성주읍에서 칠곡군 지천면까지 18.8㎞를 4차로로 신설하는 것으로, 총사업비는 9천542억원으로 추산된다. 앞서 지난 2월 국토교통부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중점추진사업에 선정된 데 이어 윤석열 정부 대선 공약사업에도 반영된 바 있다. 또 1999년과 2017년 두 번의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시행했지만 경제성 부족으로 고배를 마셨다. 기재부는 "국가간선도로망 동서 3축 구간 중 단절구간(Missing Link)에 해당하는 성주~대구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것"이라며 "간선도로망 동서 3축(새만금~포항) 중 무주~성주~대구 구간만 단절돼 있는 상태"라며 예타 대상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국토부는 "예타조사를 통해 사업 타당성이 확보되면 타당성평가, 설계 등을 거쳐 착공하는 절차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북도는 △국토균형 발전 및 동서화합 기여 △환황해권과 환동해권의 경제·교통·물류 중심축 연계 △경북 서·남부권에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접근성 향상 등을 위해 이 사업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경북도는 예타 통과를 위해 지역 정치권과 공조하는 것은 물론, 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에 지속적으로 사업 필요성을 건의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성주~대구 고속도로의 예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하고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해 반드시 통과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 사업이 추진되면 국토균형발전은 물론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연계 교통망 구축에도 큰 동력을 얻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손병현기자 why@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
손병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