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1일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와 울산시 울주군 새울원자력본부 경계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착공식이 열린 가운데 황주호(오른쪽에서 일곱 번째) 한수원 사장, 정부와 지자체 관계자들이 착공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한수원 제공> |
![]() |
원전해체연구소 조감도. <한수원 제공> |
한국수력원자력은 31일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와 울산시 울주군 새울원자력본부 경계에 위치한 원전해체연구소 터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착공식’을 가졌다.
경수로 원전 해체를 지원하는 원전해체연구소는 오는 2026년 준공할 예정이다.
중수로 원전 해체를 위한 ‘중수로 해체기술원’은 경북 경주에 지을 계획이며 현재 부지 선정을 하고 있다.
이날 원전해체연구소 착공식에는 황주호 한수원 사장(법인 이사장), 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실장, 강인구 경북 경주시 일자리경제국장, 신창호 부산시 미래산업국장, 서남교 울산시 기획조정실장 등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과 원전해체연구소 법인 임원진과 지역대표 등 120명이 참석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 관련 공공기관의 출연과 정부, 지자체의 지원으로 한수원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도해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시설과 장비를 갖춰 해체기술 개발과 장비 실증 등을 연구한다.
정부와 한수원은 경수로·중수로 원전 해체 기술 능력을 확보하고 생태계를 육성한 후 2050년 200조 원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해체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황주호 사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APR1400을 만들어낸 우리의 기술력으로 원전 해체시장에도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갈 계획”이라며 “원전해체연구소와 해체기술원이 준공되면 원자력 산업 전주기 기술 완성이라는 꿈을 더욱 앞당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