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부총리 “한국형 원전 본계약 체결 가능성 100%”…최대 4기 건설 20조 규모

  • 송종욱
  • |
  • 입력 2022-11-02  |  수정 2022-11-01 13:35  |  발행일 2022-11-02 제9면
미 웨스팅하우스 소송 “의견 차이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

이창양 장관 “폴란드와 배터리·수소에너지 협력도 확대”
폴란드 부총리 “한국형 원전 본계약 체결 가능성 100%”…최대 4기 건설 20조 규모
3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포텔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와 폴란드 국유재산부가 퐁트누프 지역 원전 개발 계획 수립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황주호(사진 왼쪽부터) 한수원 사장, 피오르트 보츠니 제팍 사장, 이창양 산업부 장관,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 지그문트 솔라즈 제팍 회장, 보이치에흐 동브로프스키 폴란드 전력공사 사장이 협력의향서를 교환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은 31일 한국형 원전(APR1400)의 폴란드 수출 계약이 성사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밝혔다.

사신 부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 원전 개발 계획 수립과 관련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한·폴란드 언론 간담회에서 해당 사업에 대한 한국수력원자력의 본계약 체결 가능성을 묻자 “짧게 대답한다. 100%다”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한수원이 폴란드의 민간발전사 제팍(ZEPAK), 폴란드전력공사(PGE)와 협력해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서쪽으로 240㎞ 떨어진 퐁트누프 지역에 APR1400 기술을 기반으로 원전을 짓는 것이다.

한국은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에 이어 유럽 국가 중에서는 처음으로 폴란드에 APR1400을 수출하게 된다.

원전 건설 규모는 2∼4기로, 원전 1기당 건설비를 5~7조 원대로 추산할 경우, 전체 수주액은 최소 10조 원 이상, 최대 30조 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사신 부총리는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가 한수원과 한국전력공사를 상대로 원전 기술과 관련한 지식재산권 소송을 제기한 데 대해서도 큰 문제가 아니라는 뜻을 밝혔다.

웨스팅하우스는 지난달 21일(현지 시각) 미 수출입통제법에 따라 한국형 차세대 원전 APR1400의 수출을 제한해 달라는 취지의 소송을 미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사신 부총리는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의견 차이일 뿐이며 기업 간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폴란드 원전 사업이 정부 주도 프로젝트와 민간 주도 프로젝트로 이원화한 것에 대해 “정부 주도는 국가 예산으로, 민간 주도는 기업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라며 “두 프로젝트 모두 정부가 똑같이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폴란드 원전 건설을 시작으로 앞으로 긴 기간 폴란드의 산업 부문에서 협력이 확대될 것”이라며 “배터리나 수소 에너지 분야 등에서도 협력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한수원은 50년 이상 원전 건설과 40년의 이상의 운영 경험을 보유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에너지 리더로 제팍이 한수원에 협력을 요청한 것은 세계 원전 시장에서 한국의 기술력과 한국 원전산업의 경쟁력을 재확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