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국제공항 출국장에서 출국을 준비하고 있는 승객들. 영남일보DB |
10일 대구시 통합신공항건설본부에 대한 대구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군위군 대구 편입' '신공항 시설규모' 등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대구시의회 통합신공항건설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박소영 대구시의원은 "군위군의 대구 편입이 전제가 돼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이 무난하게 이뤄질 수 있다"며 현재 군위 대구 편입 진행 상황에 대해 물었다.
또 '군위군 대구 편입 법안 처리가 또 다시 불발된다면, 신공항 사업 추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질문했다.
이에 배석주 대구시 통합신공항건설본부장은 "군위군 대구 편입이 지연된다면, 형후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의 주민 공청회 등이 잘 안될 수도 있어서 최대한 원만히 (군위 대구 편입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라고답했다.
김정옥 대구시의원은 '향후 통합신공항 개항 시 항공 물류 확보 방안'에 대해 물었다.
배 본부장은 "통합신공항이 건설되면 대구경북 인근 기업의 물류 비용이 절약될 수 있을 것. 구미 산단에서 인천공항까지는 4시간이지만, 통합 신공항은 1시간으로 갈 수 있다"며 "(항공 물류와 관련해) 통합신공항 이용 수요는 있다고 본다. 다만 신공항에 풀필먼트, 콜드체인 시스템 등이 갖춰질 필요가 있고, 공항 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시영 대구시의원은 통합신공항 활주로간 이격거리에 대한 질문과 함께, 신공항 개항 초기 항공 수요를 안정적·선제적으로 확보할 방안을 대구시가 미리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재원 마련에 대한 질문도 있었다.
김지만 대구시의원은 "통합신공항 사업과 관련해 가장 걱정되는 게 재원 마련에 대한 부분"이라며 재원 마련 방안에 대해 물었다.
이에 배 본부장은 "신공항 중 민간 공항 부분은 재원 마련이 매끄럽게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군 공항은 기부대 양여 방식으로 사업이 시행돼야 하기 때문에 사전에 선투자가 있어야 한다. 최근 부동산 시장 등의 상황을 감안할 때, 이를 보완하고 사업성하기 위해 특별법 제정이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