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의 도시' 엑상프로방스를 대표하는 로통드 분수. |
아를에서 방향을 돌려 엑상프로방스를 향했다. 이 도시는 엑스(Aix)라고 불리는데, 라틴어로 물을 뜻한다. 'Aix-en-Provence'는 프로방스 지역의 물이 많이 나오는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생빅투아르 산의 바위 깊은 곳에서 흘러나오는 온천수로 인해 로마 시대부터 온천 마을로 명성을 떨쳤다. 동쪽으로 니스·모나코·칸·그라스, 서쪽으로 아비뇽·아를·몽펠리에, 남쪽으로 마르세유와 칼랑크 국립공원, 북쪽으로 베르동 협곡과 라벤더로 유명한 발랑솔 고원이 둘러싸고 있다. 인구가 14만명이 넘으니 프랑스 도시 가운데 꽤 큰 축에 드는 도시이다.
'근대 회화의 아버지'라 불리는 화가 폴 세잔의 고향이어서 세잔의 도시로 기억되곤 하지만, 12세기에는 프랑스의 주도였기에 사원, 성당, 궁전 등 역사와 문화 유적 등의 볼거리도 많다. 관광의 첫 시작은 보통 미라보(Mirabeau) 광장에서 시작한다. 물의 도시답게 거리 곳곳에서 크고 작은 분수를 만날 수 있다. '1천개 분수의 도시'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인데,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이 로통드(Rotonde) 분수이다. 1860년에 세워진 이 분수는 농업·예술·정의를 상징하는 세 신과 천사, 인어, 백조, 사자 등이 조각된 멋진 조형미를 자랑한다. 로터리 가운데 자리한 이 분수를 기점으로 관광안내소, 미라보 광장, 올드타운, 프로방스 길 등 도시의 중요 장소들이 이어져 있다.
![]() |
세잔과 에밀 졸라가 단골로 다닌 카페 레되가르송. |
이 거리에는 꼭 들러야 하는 카페가 있다. 바로 폴 세잔과 그의 친구 에밀 졸라가 단골로 다니던 카페 레되가르송(Les Deux Garcons)이다. 카페 앞 녹색 차양막에는 '1792 Les Deux Garcons'이라는 글씨가 선명하다. '1792년 두 소년'이란 뜻으로 개업 연도와 두 셰프가 동업했다는 것을 나타낸 상호이다. 세잔은 이곳에서 에밀 졸라와 함께 미술과 문학, 정치와 혁명을 이야기하곤 했다. 세잔은 오후 4시쯤 이곳에 와서 느긋하게 와인 베이스의 식전 음료 아페리티프(aperitive)를 즐기곤 했다고 한다. 그 이후로 이 카페는 엑상프로방스를 방문하는 유명인사들이 꼭 들르는 장소가 되었다. 피카소와 마티스는 물론 사르트르와 에디트 피아프, 알랭 들롱, 그리고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까지 숱한 유명인이 찾았다. 실내에는 피카소, 마티스 등이 그려 놓고 간 진품 그림들이 장식처럼 걸려 있다. 테이블이 다닥다닥 놓인 카페 테라스에 백발의 노부부와 젊은 대학생들이 뒤섞여 있는 모습이 중세와 현대의 조화처럼 이채로우면서도 신선하다. 역사적 장소가 발산하는 힘이다.
![]() |
여러 양식이 복합된 생소뵈르 대성당. |
이 외에도 13세기 후반 프로방스 고딕 양식을 잘 보여주는 생장드말트 교회와 유명 화가의 종교화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마들렌 교회도 이 도시의 문화와 역사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전자는 13세기 후반의 프로방스 고딕 양식을 잘 보여주는 화려한 건축물이며, 후자는 13세기 후반까지 도미니크회 수도원 건물로 쓰였다가 17세기 대규모 재건축을 통해 지금의 모습으로 거듭났다.
건축물 유적으로는 350년이 넘는 세월을 간직한 방돔 공작의 별장도 빼놓을 수 없다. 이 별장은 방돔 공작이 그의 연인을 위해 지은 곳이다. 지금은 박물관으로 개조되어 개방하고 있다. 3층의 정육면체의 건물에 잘 꾸며진 정원과 분수가 조화롭다. 특히 머리로 테라스를 이고 있는 문 양쪽의 아틀란티스 조각상이 시선을 끈다. 18세기 대저택에 들어선 미술관 코몽아트센터에서도 옛날 모습 그대로 보존된 방과 아름다운 정원을 만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세잔, 고흐, 피카소 등 거장의 작품들을 볼 수 있다.
![]() |
엑상프로방스 시청사와 시계탑. |
![]() |
칼리송 하나를 입에 물고 이제 세잔을 만나러 간다. 아를이 고흐의 도시라면 엑상프로방스는 단연 폴 세잔(Paul Cezanne)의 도시이다. 엑상프로방스에서 태어나고 자란 세잔은 줄곧 고향의 풍광을 화폭에 담았다. 이 도시의 모든 풍경은 세잔의 캔버스에 담겨 작품이 되었고, 세잔은 자연스럽게 이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 도시 곳곳에 남아있는 그의 자취는 보도에 'C'라고 새겨진 표지판으로 남아 우리를 이끈다. 로통드 분수 로터리에 그의 동상이 서 있고, 도시 곳곳에 세잔의 향기를 담은 장소가 있다. 그가 살았던 생가가 있고, 그림에 몰두했던 아틀리에가 있으며, 커피를 마시며 사색하던 카페가 있고, 그의 장례식이 치러진 성당도 있다.
<대구대 문화예술학부 교수>

권응상 대구대 문화예술학부 교수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