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 산격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
대구시가 올해 물가 관리를 가장 잘한 광역자치단체로 평가받았다.
행정안전부가 올들어 10월까지 전국 지자체 243곳의 지방 공공요금 안정 관리, 개인서비스요금 안정을 위한 추진 노력을 평가한 결과, 광역단체 중 가장 성과가 좋은 곳은 대구시와 충북도로 나타났다.
대구의 경우 시에서 추진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상하수도요금 감면, 소상공인 및 경영위기 업종에 대한 3~5월 상·하수도 사용분의 50% 감면(7만355개 기업 101억8천500만원 감면)과 달서구의 착한가격업소 이용 릴레이 캠페인 전개(25개 기관 70명 참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구시와 충북도를 비롯해 상위 10%인 '가' 등급을 받은 지자체는 부산 남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등 24곳이었다. 이들 지자체는 그룹별 평가등급에 따라 재정 특전을 차등 지급 받으며, 규모는 총 110억원이다.
이번 평가는 정량실적(지방공공요금 동결·감면 등)과 정성실적(물가안정 분위기 조성 등 노력도) 등 총 20개의 평가지표가 활용됐으며, 10월까지 실적을 4개 그룹(특·광역시, 도, 자치구, 시·군)으로 구분해 실시됐다.
지방공공요금 안정관리 분야 평가 결과 지자체 63곳이 상·하수도 요금과 쓰레기봉투 요금을 총 859억원 감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방공공요금 인상을 추진했던 지자체 47곳 중 30곳이 요금을 동결하거나 내년 이후로 인상 시기를 조정했다.
대구시를 비롯한 전국 지자체의 이 같은 노력으로 10월 말 기준 지방공공요금 7종의 물가상승률이 1.0%에 그쳤다고 행안부는 평가했다.
행안부는 15일 대구시 등 '가'등급을 받은 지자체에 재정특전 지급 증서를 전달하고, 지방물가 안정관리 유공 공무원 17명에게 행안부 표창을 한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