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한 해 동안 3천300여명이 '고독사'로 숨지는 등 최근 5년 사이 고독사가 40%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4월 시행된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고독사 예방법)에 따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고독사가 국가 차원의 공식 통계로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독사 예방법에 따르면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시신이 발견되는 죽음'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에서 지난해 고독사로 사망한 사람은 3천378명으로, 2017년 2천412명보다 40% 증가했다.
작년 고독사 사망자 수는 전체 사망자(31만7천680명)의 1%로, 사망자 100명 중 1명이 독거 상태에서 혼자 쓸쓸히 임종을 맞는 셈이다.
연도별로는 2017년 2천412명, 2018년 3천48명, 2019년 2천949명, 2020년 3천279명으로 2019년을 제외하곤 전년보다 늘었다. 연평균으로는 8.8%씩 증가했다.
눈에 띄는 거슨 노년층보다 50∼60대 중장년층, 특히 남성의 고독사가 많다는 점이다.
지난해 고독사로 숨진 사람은 50대가 1천1명(29.6%)으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981건(29.0%)으로 뒤를 이었다. 50~60대 중장년층이 60% 가까이(58.6%) 차지한 것이다. 이어 40대(526건·15.6%), 70대(421건·12.5%), 80대 이상(203건·6.0%), 30대(164건·4.9%), 20대(53건·1.6%) 순이었다.
대구의 경우 지난해 고독사로 124명이 숨져 2020년(125명)보다 1명 줄었지만, 2017년 85명, 2018년 117명, 2019년 105명 등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발생 비율(전국평균 6.6명)은 5.2명, 사망자 중 고독사가 차지하는 비중(전국평균 1.1%)은 0.9%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경북에서는 2018년 155명이던 고독사가 2019년 141명, 2020년 135명으로 줄어들다가 지난해 180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발생 비율과 사망자 중 고독사가 차지하는 비중 각각 6.9명과 0.8%이었다.
작년 고독사가 발생한 장소를 살펴보면, 주택(단독·다세대·연립·빌라)이 50.3%로 가장 많았고, 아파트(22.3%), 원룸(13.0%) 순이었다. 최초 발견자는 형제·자매 22.4%, 임대인 21.9%, 이웃주민 16.6%, 지인 13.6% 등이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