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K&TALK] 김향금 수창청춘맨숀 관장 "청년예술가 지원·소통 공간으로…계획한 건 다 이루고 떠나 시원"

  • 박주희
  • |
  • 입력 2022-12-29  |  수정 2022-12-29 07:19  |  발행일 2022-12-29 제17면
임기 끝자락에도 아카이브북 '공간의 기억' 제작 등 사업 마무리로 분주

市 민간위탁사무 평가 우수등급·다양한 장르 예술가와 협업 성공적

앞으로 예술·사회적가치 함께 하는 소규모 예술공동체 활동 계획

2022122801000913400036881
올해 말로 임기를 마치는 김향금 수창청춘맨숀 관장은 "5주년 중장기 사업 계획을 세워 일했는데, 제가 선견지명이 있었는지 위탁 기간을 고려해 약 1년 정도 계획을 앞당겼다. 서두른 덕에 잘 마무리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수창청춘맨숀 제공>

4년3개월,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다.

김향금 수창청춘맨숀 관장이 4년3개월 동안 수행해 왔던 관장직 임무를 올해 말로 마친다. 대구시의 시정혁신 2단계 조치로 내년부터 수창청춘맨숀이 기존 민간위탁(대구현대미술가협회)에서 공공위탁(대구문화예술진흥원)으로 전환되면서 관장직에서 물러난다.

수창청춘맨숀은 옛 대구문화재단(현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의 9개월간의 임시 위탁을 거쳐, 2018년 9월 대구현대미술가협회가 대구시로부터 민간운영 위탁을 받았고 그해 11월 정식 개관했다.

김 관장은 대구현대미술가협회가 위탁을 받기 시작한 2018년 9월부터 줄곧 수창청춘맨숀의 수장 역할을 해 왔다. CI에서부터 간판, 직원 채용 등 수창청춘맨숀의 사실상의 첫 시작부터 일일이 김 관장의 손때가 묻지 않은 일이 없다 보니 애정이 남다를 수밖에 없다.

임기 끝자락에도 그는 수창청춘맨숀 4년3개월의 기록을 담은 아카이브북 '수창청춘맨숀 공간의 기억'을 제작하고, '수창메타아트플랫폼' 아카이브도 진행 하는 등 사업 마무리로 분주했다.

4년3개월을 마무리 짓는 심경에 대해 김 관장은 "주변 사람들은 다들 서운해하던데, 물론 섭섭한 마음도 있지만 시원한 부분이 더 크다. 이곳에서 제가 하고자 했던 일에 대해 어느 정도 성과를 다 이룬 것 같은 느낌"이라고 답했다.

▶대구시가 지난 10월 발표한 '2021년 실적 기반 민간위탁사무 운영성과' 평가에서 수창청춘맨숀이 평가대상 39개 시설·사무 중 우수 등급인 가 등급을 받았다. 좋은 평가로 마무리하게 돼 기쁠 것 같다.

"수창청춘맨숀은 다양한 장르의 청년예술가를 지원하는 청년융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문화사업을 구축해 왔다. '대중성, 전문성, 역사성, 공공성, 국제성'이라는 5가지 콘셉트로 이 공간을 운영했다. 시민과 문화를 향유하고, 청년예술 활동의 거점 기지로 전문성을 띠며, 문화재생과 지역의 스토리를 대변하는 공간으로 만들어가고자 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국제성을 담보하는 사업도 진행했다. 위탁사무 평가에서 좋은 점수로 격려해 준 것 같아 뿌듯하고 공공위탁으로의 전환이 지역의 예술가들에게 또 다른 발판의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국제성과 관련된 사업은 무엇이었나.

"국제 교류 사업은 지속가능성과 예산 문제 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NFT, 메타버스였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NFT, 메타버스 활동을 하면 국제성을 담보할 수 있고 청년 예술가의 탈중앙화가 가능하며 지속 가능성을 가져갈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 이에 지난해 NFT아트플랫폼 기획전시로 첫걸음을 뗐고, 올해 이보다 확장된 '수창메타아트플랫폼' 사업을 진행했다. 수창메타아트플랫폼은 청년예술가들이 디지털 예술활동으로의 확장을 NFT아트로 경험하면서 메타버스에서의 활동까지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메타버스는 어떻게 발전할 것 같은가.

"메타버스를 젊은이들이나 하는 가상현실쯤으로만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이 있다. 캐릭터에 필요한 아이템을 판매하는 등의 경제성보다 미래에 이뤄질 메타융합의 무한한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교육이나 의료, 산업, 행정, 정치까지도 메타융합으로 이뤄질 확장성은 생각보다 클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수창청춘맨숀을 운영하면서 특히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청년문화공동체와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이 협업한 '아트 퍼포먼스' 활동이 기억에 남는다. 청년문화공동체는 예술담론, 철학스터디, 독서모임, 레지던시 등을 진행하면서 예술과 삶을 함께 엮어내는 데 필요한 고민과 노력들을 다져가는 커뮤니티 공동체다. 세계적으로 융복합 예술 시대다. 그런데 예술가들은 각 장르에서 활동하다 보니 융복합 실험 경험이 부족했는데, 이 같은 활동을 통한 소통과 연대가 젊은 예술가들에게 좋은 자극과 자양분이 됐다고 생각한다."

▶수창청춘맨숀을 운영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청년 지원이 사회적으로 좀 더 중요한 시기가 올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청년예술가 지원 정책은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의 지원 정책은 일회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예산 부족과 전문 인력에 대한 갈증도 있었다."

▶앞으로의 행보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다.

"4년3개월간 수창청춘맨숀 운영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웠다. 그래서 20대부터 하고 싶었던 일을 실천해 볼까 한다. 바로 예술과 사회적 가치를 함께 실현할 수 있는 작은 '예술공동체' 활동이다. 예술을 하면서도 내 삶의 가치를 높이는 작은 공동체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작년과 올해, 예술가들과 함께 미얀마, 우크라이나 시민 돕기 등의 소소한 실천을 통해서 용기가 생겼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주희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