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토종 건설업체 화성산업<주>이 메리츠자산운용 2대 주주로 등극했다. 화성산업은 이를 계기로 해외진출과 IT분야 진입 등 사업 다각화에 본격 드라이브를 건다는 계획이다.
10일 화성산업에 따르면 지난 6일 사모펀드 운용사인 KCGI(대표 강성부)와 공동으로 메리츠자산운용 보통주 264만6천주(지분 100%)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총 인수금액은 400억~500억원가량으로 추정된다. 오는 6월 금융당국의 대주주 변경 승인 절차가 마무리되면 화성산업은 메리츠자산운용 2대 주주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경영에도 본격 참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메리츠자산운용은 메리츠금융지주의 자회사로 총운용자산(AUM)이 3조원에 이르는 국내 중견 종합자산운용사다.
![]() |
화성산업은 이번 지분 인수를 계기로 사업 확장 및 수익구조 다변화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화성산업 관계자는 공동인수 파트너 KCGI에 대해 "KCGI가 내세우는 ESG 가치는 화성산업의 장기적 지향점이고 '착한 거버넌스'는 현 경영진이 표방하는 슬로건이다. 앞으로 긴밀한 협업을 통해 ESG 경영 구현, 미래 신사업 발굴,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등에서 많은 도움을 주고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지분 인수는 이종원 화성산업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이 회장은 지난해 화성산업 회장 취임 이후 늘 '변화와 혁신'을 강조해 왔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가치 투자를 지향해 왔다. 이 회장은 "KCGI가 한국의 워런 버핏을 꿈꾸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번 지분 인수가) 화성산업 사업 다각화의 씨앗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화성산업의 메리츠자산운용 지분 인수는 지역기업의 한계를 넘어 주택시장 침체국면 정면돌파 및 사업 다각화를 위한 첫걸음이란 평가가 나온다. 화성산업은 기존 건설 부문의 역량을 강화해 해외 진출에 나서고, 직접 투자를 통해 서비스로봇과 2차전지 등 IT분야 진입까지 검토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화성산업의 메리츠자산운용 지분 인수는 지역기업의 한계를 넘어 주택시장 침체국면 정면돌파 및 사업 다각화를 위한 첫걸음이란 평가가 나온다. 화성산업은 기존 건설 부문의 역량을 강화해 해외 진출에 나서고, 직접 투자를 통해 서비스로봇과 2차전지 등 IT분야 진입까지 검토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건설 부문 해외진출의 경우 사우디아라비아·인도네시아 등에서 사회간접자본(SOC) 공사 수주를 염두에 두고 있다. 특히 여러 채널을 통해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 사업 참여를 타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네시아는 코로나19 확산 전까지 5% 전후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해 왔다.
화성산업은 토목·환경 분야에서 경쟁력이 충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화성산업은 컨소시엄 참여 형태로 관련 사업에 뛰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종원 회장은 "화성산업과 KCGI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 메리츠자산운용 지분 인수가 화성산업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임훈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