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당권 주자 김기현 의원이 6일 오후 인천시 남동구 국민의힘 인천시당에서 열린 국민의힘 연수구 갑·을 당원협의회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국민의힘 3·8 전당대회에 출마한 천하람 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기인 청년최고위원 후보, 허은아 최고위원 후보, 천하람 당 대표 후보, 김용태 최고위원 후보. 연합뉴스 |
국민의힘 3·8전당대회가 친윤·비윤을 넘어 분당(分黨) 수준의 극한 갈등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갈등의 중심에선 대통령실도 윤석열 대통령이 당무개입이 아니며 '1호 당원'으로서 당에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라고 밝히면서 갈등은 갈수록 커지는 양상이다.
◆ 김장연대부터 윤안연대까지 갈등
이번 전당대회는 김장연대(김기현·장제원 연대)를 시작으로 친윤계(親윤석열계)가 김기현 후보로 결집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은 나경원·유승민 전 의원 및 안철수 의원 등 비윤 그룹 당권 도전자들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특히 전당대회에서 선두권을 달리던 나 전 의원이 SNS에 자신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및 기후대사직 해임을 두고 "대통령 본의가 아니라 생각한다"고 밝힌 직후 대통령실이 강력 반발하는 것은 물론 친윤계의 파상공세가 쏟아졌다. 또 당내 초선의원 50여 명이 나 전 의원을 비난하는 연명서까지 발표하자, 결국 나 전 의원은 당 대표 불출마를 선언했다. 당권 도전 가능성이 높았던 유 전 의원도 친윤계의 지속적인 비판과 당원 투표 100%·결선투표제 도입에 결국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
최근에는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는 안 후보가 '윤안(윤석열·안철수) 연대'를 강조하자, 친윤계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친윤계 핵심인 이철규 의원은 6일 SNS에 안 후보를 겨냥, "공산주의자 신영복을 존경하는 사람", "잘된 일은 자신의 덕이고, 잘못된 일은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 사람" 등의 표현을 쓰며 비난했다. 또다른 친윤계인 이용 의원도 CBS 라디오에서 "안 후보가 (대통령의) 참모들에 대한 잘못된 것들을 지적함으로써 어찌 보면 간접적으로 대통령에 대한 공격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비판행렬에 동참했다.
안 후보 측은 이날 공개 일정을 전면취소하는 등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안 후보 캠프 선거대책위원장인 김영우 전 의원은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여당 전당대회는 모든 후보가 대통령과의 협력·일체감을 주장한다"며 "김기현 후보 측도 윤석열 대통령과 일체다(라고 했고), 어떤 의원님은 '윤심은 100% 김기현 후보에 있다'라고 방송에서까지 했다"고 지적했다. "안 후보도 대통령과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차원에서 연대라는 표현을 한 것이지 다른 뜻은 없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 尹 "엄중경고 해야"…安 "경선 개입"
윤석열 대통령과 대통령실은 6일 안 후보에 대한 비판을 지속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전당대회에 자신을 끌어들이려 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안 후보를 엄중 경고해야 한다는 의견을 당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일 이진복 정무수석을 국회에 보내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게 했다. 이 수석은 안 후보가 최근 당원들을 만나 '윤안(윤석열-안철수) 연대'라고 강조하고, 경쟁자 측을 '윤핵관'(윤 대통령 핵심 관계자)이라는 표현으로 비판한 점을 중점 거론하며, "안 후보가 이런 식으로 캠페인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고 위험하다"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어떤 경우든지 대통령이나 대통령실을 당내 선거에 끌어들이는 의도적인 시도는 지양돼야 마땅하다"며 안 후보의 '윤안 연대' 표현이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또 "일부 후보는 간신배니, 윤핵관이라는 악의적인 프레임을 자꾸 들먹이며 선거 분위기를 과열하고 혼탁하게 만들어가는데, 스스로 자제하길 바란다"며 "도가 지나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분명히 경고해둔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윤핵관'과 '연대' 발언에 대해 일부 해명했다. 안 후보는 "(윤안 연대는 대선 후보) 단일화 때, 인수위원장 때 쓰던 얘기"라고 설명하면서도 "윤 대통령의 국정과제를 정말 충실하게 존중하면서 실행에 옮기겠다는 그런 뜻이었는데 그걸 나쁜 표현이라고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쓰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혔다. '윤핵관' 표현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그런 어감들이 있어서 쓰지 않기로 했다"며 "전혀 그런 의도가 없었고 (윤 대통령이) 그렇게 생각하실 줄도 사실은 제가 몰랐었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비윤계 인사들이 거론하는 윤 대통령의 전언이 '당무개입'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은 당의 중요한 1호 당원"이라며 "당무에 관한 의사 결정 시스템에서 당이 대통령 의견을 듣고 대통령이 당에 의견을 개진할 책임과 권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