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도시철도 엑스코선 기본계획안 공청회’에서 주민들의 다양한 요구들이 쏟아졌다.
이날 공청회장 안은 600석 자리가 모자를 정도로 많은 주민들이 참석했다.
공청회는 기본 계획안에 대한 설명과 전문가 토론, 시민 의견 청취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공청회의 최대 화두는 엑스코역과 경북대역, 이시아폴리스역 등 주요 역사의 위치 문제였다.
전문가 토론에 나선 김병수 경북대 교수는 "현행 경북대역의 위치는 4만5천여 명의 대학 구성원 수요를 반영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서 "대구시 버스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경북대 북문쪽 (버스) 승하차 인원이 월 평균 8만 여 명인데 비해 역사가 계획된 서문쪽은 1만 여 명에 그쳤다. 이용인구가 8배가량 차이나면 경제성 문제도 고려해서 옮기는 게 타당하다"고 말했다.
김병수 / 경북대 토목공학과 교수
대구광역시 버스정보시스템에서 자료를 조사해 보니까요. 북문 쪽에 다니는 승합차 인원수가 월평균 8만 명 정도 됩니다. 그리고 지금 현재 계획하고 있는 서문 쪽에 승합차 인원수는 1만 명 정도 밖에 안됩니다. 이용 인구가 8배 정도 차이가 난다면 경제서성 문제도 고려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북문 쪽으로 옮기는 게 타당합니다.
시민 의견 청취 순서가 되자 공청회장에선 반발 섞인 고성이 오갔다. 현장에는 "'대구 미래 50년, 100년' 홍준표 대구시장의 뜻과 역행하는 도시철도 엑스코선 재검토하라!"라고 적힌 현수막도 눈에 띄기도 했다.
시민 의견 청취 순서에서 좌장을 맡은 김철수 계명대 교수가 동구와 북구, 수성구 지역들이 골고루 질문해줄 것을 요청하며 수습에 나섰으나, 북구 주민들의 질문 공세가 쏟아졌다.
이성장/ 북구주민자치원장협의회 회장
아니 엑스코라고 이름을 지었으면 적어도 엑스코 동관이든 서관이든 앞에서 내려서 바로 입장할 수 있도록 이렇게 해줘야 되는 것이 엑스코선이지 멀리 떨어져 있는 게 무선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까
경북대역의 주 이용자가 될 경북대 학생들도 참석해 엑스코선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금강산/ 경북대 경영학부
이번 공청회전에 올라온 자료에 의하면 경북대역이라고 적혀 있는 곳이 경북대가 없습니다.
이일에 대해서 저희 학생들은 많은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교통이 해결되지 않는데 어떻게 경북대가 발전하겠습니까. 어떻게 지방이 발전하겠습니까.
이에 대해 대구교통공사 측은 시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향후 결정과정에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용국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