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를 41만 인구회복 원년으로 선언한 구미시가 인구정책 종합대책 보고회를 열고 있다.<구미시 제공> |
인구 41만 회복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경북 구미시가 인구 증가를 이끌 해법을 마련했다.
구미시는 8일 열린 인구정책 종합대책 보고회에서 올해를 41만 인구회복 원년으로 정하고, 인구 감소 완화와 미래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할 130개 사업에 1천300억 원 투자를 발표했다.
이날 ‘미래사회 준비와 구미재창조’를 목표로 청년과 아이 중심의 3대 신규 인구 유입 정책도 마련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오랜 숙원사업인 명문 고교 육성을 위한 TF(태스크포스)를 가동해 기존 고교를 명문으로 육성하거나 명문고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소아·청소년 부모의 호응을 받는 365 소아청소년 진료센터 확대, 현재 19개소인 야간 연장 보육 시설(어린이집)과 돌봄서비스를 2배 이상 늘려 아이는 행복하고 부모는 걱정 없는 도시를 만든다.
생활인구 개념을 도입한 신중년과 신 농촌 시대의 인구변화에 대응할 미래사회 준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여기에는 △청년과 신중년 지원센터 △구미월컴센터 △인재도시를 위한 진학 진료센터 △캠퍼스 혁신센터 △천년 문화 기획학교 △아픈 아이 돌봄센터 등이 들어있다.
한편, 구미시의 인구는 2018년 42만2천287명으로 최고치를 보인 이후 2019년 41만9천742명으로 42만 명 선이 무너졌고, 지난달 말에는 40만7천387명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구미시의 연간 출생아 수는 2천230명, 사망자 수는 2천255명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은 인구 데드크로스(인구 자연감소) 현상도 최초로 발생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짧은 기간의 인구 유입 성과보다 미래를 향한 인구 증가 정책이 필요하다"며 "저출산 원인을 세밀하게 분석해 아이 돌봄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종현기자 baekjh@yeongnam.com

백종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