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DGIST 중앙기기센터 지하 1층 수퍼컴퓨팅·빅데이터센터 내부 모습. 영남일보DB |
정부가 전력수급 차질 등의 이유로 수도권에 밀집돼 있는 '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을 추진하기로 하자 경북 기초단체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며 유치 경쟁에 뛰어들 태세다. 반면 대구는 전력 수요가 높은 특성상 유치가 사실상 힘든 것으로 파악됐다. 데이터센터는 전기계통 수요가 적은 농어촌지역이 입지대상이라는 설명이다.
◆지방 분산하려는 이유
한덕수 국무총리는 9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수도권 전력수급 차질과 재난 등으로 인한 수도권 밀집 (데이터)센터들의 동시 마비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센터의 지방 분산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방 입지를 희망하는 데이터센터 기업을 발굴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대규모 전력을 소비하는 데이터센터에 대한 계통 평가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지역 분산을 촉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정부는 수도권에 계획돼 있던 데이터센터를 법령 개정을 통해서라도 비수도권에 건립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한전이 전기공급 포화 상태인 수도권에서 데이터센터의 전기공급 요청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에 따르면 2029년까지 국내에 모두 732개의 데이터센터가 계획돼 있으며, 이 중 82.1%인 601곳이 수도권에 건설될 예정이다. 전력 수요로 치면 4만9천397메가와트(㎿) 중 3만9천802㎿(80.6%)다. 현재 국내 전체 전기 수요-공급량이 8만~10만㎿란 걸 감안하면 엄청난 전력량이다.
◆유치 적극 나서는 경북
이에 비수도권 지자체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전국에서 가장 많은 원전을 보유한 경북에서는 데이터센터 유치를 적극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T가 수도권 전력 수급 문제를 감안해 이미 경북 예천에 데이터센터(사업비 1천억원)를 설립하기로 확정했다. 구미에서 추진 중인 한류메타버스 전당 조성을 위한 메타버스 데이터센터 구축사업(사업비 3천600억원)도 용역 발주와 함께 가시권에 들어왔다.
여기에 전국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가 될 것으로 보이는 육양국(해저 광케이블과 육지 통신망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접속 설비를 갖춰 놓은 통신국사) 데이터센터가 포함된 '데이터센터 캠퍼스'도 이번 정부 방침에 따라 포항 건립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포항시는 9일 데이터산업의 거점 확보와 ICT(정보통신기술) 기업 유치 등을 위해 데이터센터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2019년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 실패를 경험한 포항시는 현재 경북도·한전 등 유관기관과 함께 국내 한 기업이 제안한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시 관계자는 "현재 제안사와 협의가 잘 진행되고 있다"며 "데이터센터만 유치할 경우 고용창출 등에 효과가 미미해 클러스터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경북에서는 울진·영덕·고령 등이 데이터센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는 유치 힘들 듯
반면 대구는 데이터센터 지방 분산과 관련해 사실상 해당사항이 없다. 데이터센터 분산은 전기계통 수요가 적은 농어촌지역 등이 대상인 탓에 전력 수요가 높은 대구는 유치가 사실상 힘들다는 것. 한국전력이 내놓은 '전국 83개 345kV 변전소 전력 공급 여유 용량(2021년 기준)' 자료에 따르면 대구의 여유 용량은 500MW 이하다. 전국에서 수도권(서울·인천·경기 250MW)에 이어 둘째로 여유 용량이 적다.
데이터센터는 24시간 서버와 데이터 저장장치를 가동하고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매우 많다. 데이터센터 한 곳당 평균 연간 전력사용량은 25GWh로, 4인 가구 6천 세대가 연간 사용하는 전력량과 맞먹는다. 대구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분산은 전기 계통 수요가 많지 않은 농어촌이나 교외지역이 대상이다. 대구는 전국에서 전력 수요가 높은 대도시여서 해당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임성수·마창성·구경모·손선우기자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마창성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