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판(版) '판교밸리'로 관심을 모아 온 대구 '도심융합특구' 사업이 지정 3년이 지나도록 하세월이다. 관련 특별법 제정이 지연돼 정부 지원 근거가 마련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가 지난 13일 대구를 비롯한 5개 광역시 도심융합특구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을 국회에 촉구하기에 이르렀다. 더 이상 지켜볼 수만 없는 절박감에서 나온 호소다. 도심융합특구는 지역균형발전의 자양분이 되어줄, 대구에 꼭 필요한 사업이다. 정부가 기존 도심에 산업·주거·문화가 집적된 복합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대구지역 청년의 유출을 막고, 수도권 청년을 대구로 오게도 만드는 게 목표다. 대구는 옛 경북도청 터와 삼성창조캠퍼스, 경북대를 연결하는 트라이앵글 공간(98만4천50㎡)이 사업지로 선정됐다. 훗날 대구 발전의 허브가 될 것으로 큰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관련 특별법 제정이 국회에서 답보를 면치 못하고 있다. 법안 발의 2년 만인 지난달 처음으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상정됐으나 다른 법안에 가려 논의조차 없었다. 형편이 이러니 대구시·북구청 등 관련 지자체는 구체적 후속 사업계획도 세우지 못하고 있다. 안타까운 일이다.
도심융합특구는 직전 정부 때 추진됐지만, '지방시대 구현'을 천명한 윤석열 정부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사업이다. 16일부터 특별법안에 대한 국토위 소위 심사가 시작된다. 소속 국회의원들의 각별한 관심과 분발을 촉구한다. 모두 자기 지역구 일처럼 여기고 상반기 중엔 통과될 수 있도록 서둘러 달라. 해당 지자체는 하루하루가 아깝다. 아울러 과거 이 사업을 제안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지난해 부임한 우동기 위원장에게도 아낌없는 '지원 사격'을 당부한다.
도심융합특구는 직전 정부 때 추진됐지만, '지방시대 구현'을 천명한 윤석열 정부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사업이다. 16일부터 특별법안에 대한 국토위 소위 심사가 시작된다. 소속 국회의원들의 각별한 관심과 분발을 촉구한다. 모두 자기 지역구 일처럼 여기고 상반기 중엔 통과될 수 있도록 서둘러 달라. 해당 지자체는 하루하루가 아깝다. 아울러 과거 이 사업을 제안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지난해 부임한 우동기 위원장에게도 아낌없는 '지원 사격'을 당부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