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봄이면 어김없이 노랗게 찾아오는 '산수유'란 이름을 이번엔 작정하고 파고들었다. 도대체 '수유(茱萸)'란 무슨 뜻이며 어디에서 온 말인가. 茱와 萸는 다른 낱말을 만들지 않고 오로지 '수유'만을 위한 글자다. 왜 '수'와 '유'를 쓰는가에 대한 설명은 분명하지 않으나, 茱에 포함된 朱(붉을 주)는 붉다는 뜻이므로 산수유의 빨간 열매를 나타낸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萸는 좀 받아들이기 어려우나 열매를 생으로 먹을 수 있다거나 나무의 형태가 여위고 작아서 그렇다는 주장이 있다. 萸에 포함된 臾(잠깐 유)에 그런 뜻이 있느냐는 것은 여전히 의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여기에서 멈출 수밖엔 도리가 없다.
웬만한 초목에는 한두 개의 전설이 있듯 산수유도 예외는 아니다. 중국의 태항산은 전국시대 칠웅의 하나였던 조(趙)나라의 영역이었다. 어느 날 태항산의 약초꾼이 '산유'라는 열매를 왕에게 바쳤으나, 볼품없어 보이는 열매는 왕의 분노와 함께 내쳐진다. 그러나 주(朱)씨 성을 가진 어의가 이 열매를 재배하여 약재를 만들었다. 몇 년 후 왕이 요통으로 고생할 때 어의는 산유로 왕의 병을 고치게 된다. 산유로 치료한 것을 안 왕이 그 이름에 朱를 넣어 '산주유(山朱萸)'라 하였고 여기에서 '山茱萸'란 이름이 생겼다는 것이다.
국어사전을 보니 '수유'란 이름을 가진 나무가 여럿 나온다. 산수유, 오수유(吳茱萸), 식수유(食茱萸) 그리고 수유나무다. 모두 茱萸란 한자어를 쓰고 있다. 이 중에서 산수유만 층층나뭇과고 나머지는 모두 운향과라 하니 품종이 다르다 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의 열매는 모양이 각각 다르다. 수유나무는 쉬나무, 식수유는 머귀나무라는 순우리말 이름을 가지고도 있다. '쉬'는 수유에서, '머귀'는 먹을 식(食)자에서 온 듯하다. 산수유는 우리와 중국이 원산지이며, 나머지는 대체로 중국 원산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유'란 이름의 이들 나무의 열매는 모두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 |
이경엽 한자연구가 |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