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태영호 최고위원이 3일 국회에서 녹취 파문, 후원금 쪼개기 의혹 관련 입장 발표 후 기자회견장을 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
'태영호 녹취록'에서 촉발된 대통령실의 총선 공천 개입 논란으로 국민의힘이 시끄럽다. 여당의 고질적 리스크인 '공천 파동'이 내년 선거에서마저도 재현될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지난 3월 9일 의원실에서 보좌진과 나눈 대화가 담긴 녹취록에 따르면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태 최고위원에게 공천을 거론하며 한일관계를 옹호하는 발언을 요구했다. 실제 태 최고위원이 한일문제를 언급하면서 대통령실의 '공천·당무 개입' 논란이 일었다.
국민의힘 분위기는 어수선하다. 당초 "태 최고위원 본인이 과장한 것이라고 했다. 당무 개입을 안 했다고 하는데 했다고 하면 어떡하나"고 선을 그었던 당 지도부는 논란이 거세지자 내년 총선에 악재가 될 것이라 판단, 중앙당 윤리위원회에 징계 절차가 개시된 기존의 다른 사건들과 병합해 심사해달라고 요청했다.
태 최고위원 발(發) 대통령실 공천 개입 논란은 지난 2016년 20대 총선 당시 청와대 개입 논란을 떠올리게 한다. 총선 참패의 악몽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내놓는다. 당시 청와대는 비박(非朴)계가 박 전 대통령을 돕지 않을 것을 우려해 공천에 개입하려 했고, '진박감별', '옥새파동' 사태로 이어졌다. 결국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은 총선에서 참패했다.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면서 최순실 국정농단과 박 전 대통령 탄핵의 단초가 됐다.
TK지역 의원들은 조심스러운 반응을 내비치면서도, 다음 총선에 미칠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A의원은 "사실이 어떻게 밝혀질지는 모르겠지만, 태 최고위원의 정치적·정무적 감각이 떨어져서 일어난 문제"이라며 "총선까지 아직 1년 시간이 남았다. 그때까지 확대될 일은 아닌 것 같다"고 했다.
B의원은 "솔직히 태 의원이 과장을 넘어 스토리를 썼다고 생각한다. 태 의원 개인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문제이고, 징계가 병합되면 당 전체로 (여파가) 오지는 않을 거라 본다. 단, 앞으로 의원들이 다들 조심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서민지기자 mjs858@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