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류종우 대구시의원이 지난 7일 대구 중구 자립통합지원센터에서 자립준비청년들과의 간담회를 가진 뒤,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대구시의회 제공> |
류종우 대구시의원(기획행정위원회·북구1)이 지난 7일 대구 중구 자립통합지원센터에서 자립준비청년의 거주여건을 살피고, 자립준비청년들의 고충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자립준비청년은 보호자가 없어 아동양육시설·공동생활가정·가정위탁시설 등에 머무르다가 만 18세가 되면서 보호 종료된 청년을 일컫는 말이다. 대구에선 매년 70여 명이 보호 울타리에서 벗어나 홀로서기를 준비한다.
류 시의원이 찾은 자립통합지원센터는 대구 YWCA에서 맡아 운영 중인 자립준비청년 생활시설 중 한 곳이다. 20여명 청년이 생활하고 있다. 센터장을 비롯한 직원 6명이 자립생활관, 자립체험실 운영, 상담 및 사례관리사업을 통해 이들의 사회진출을 돕고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자립준비청년은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주거문제가 현실적으로 가장 절실한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보호종료 전 시설에서부터 경제교육 등 실질적 교육이 뒷받침돼야 사회에 나왔을 때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경험담을 이야기했다. 이른바 '넘어질 기회'가 없다면서 취업·창업·진학 등에 도전하고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제도적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피력한 이들도 있었다.
류 시의원은 "자립준비청년에 대해 반짝 관심에 그칠 것이 아니라, 이들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키다리아저씨'가 돼야 한다"며 "이는 국가와 지역사회의 당연한 책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제301회 대구시의회 정례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자립준비 청년이 짊어진 무거운 짐을 덜 수 있는 실효적인 제도와 방안에 대해 목소리를 낼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광주에선 자립준비청년이 경제적문제 등을 고민하다 극단적 선택을 한 일이 연이어 일어났다. 이 사고 이후 퇴소하는 자립준비청년에게 지원되는 정착지원금이 기존 800만→1천만원으로 늘었다. 보호종료된 날로부터 5년 이내 매월 40만원(기존 35만원) 수당도 지급된다.
이같은 금전적 지원이 실질적 대안이 될 순은 없다. 제대로 된 준비과정 없이 자립했다가 학업중단, 사회부적응, 심리적 빈곤 등 각종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서다. 2020년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호종료아동 자립실태 및 욕구조사 보고서'를 보면 자립준비청년은 경제수준, 주거환경, 교육수준, 취업률 등에서 일반청년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특히 우울증과 극단적선택에 대한 생각이 또래 청년보다 3배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서민지기자 mjs858@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