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포항 남구 포스코 본사에서 열린 포항제철소 1기 종합 준공 50주년 기념식에서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
포스코그룹이 철강과 함께 2차전지·수소 등 '친환경 미래 소재 100년 기업' 도약을 목표로 2030년까지 121조원을 투자한다. 특히 총투자액의 60% 이상인 73조원이 포항과 광양을 중심으로 한 국내 투자분이어서 실제 포항에 배정되는 금액이 얼마나 될지 관심이 쏠린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3일 포항 남구 포스코 본사에서 열린 '포항제철소 1기 설비 종합 준공 50주년' 기념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비전을 발표했다.
최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포항 1기 종합준공은 한국경제사의 역사적 전환점이었다"며 "포스코의 지난 50년이 철강사업을 통해 대한민국 경제성장을 견인한 위대한 도전이었듯이 포스코그룹은 앞으로 철강을 비롯한 2차전지 소재, 수소 등 핵심사업 중심의 성장을 통해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투자의 60% 이상인 73조원을 포항과 광양 등 국내에 투자해 국가 균형발전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일익을 담당할 것"이라며 "친환경 미래소재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 |
최 회장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친환경 중심으로 재편되는 관련산업의 구조적 변곡점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도약하면서 지속가능한 '100년 기업' 으로서 국내산업의 저탄소 친환경 경쟁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50년 전인 1973년 7월3일은 포항종합제철이 건국 이래 최초로 현대식 용광로로부터 철강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제선-제강-압연)인 일관제철 체제를 갖춘 날이다. 조선·자동차로 대표되는 대한민국 중공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