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3개 산업특구 지정 프로젝트 본격 스타트

  • 최수경
  • |
  • 입력 2023-07-23 18:13  |  수정 2023-07-27 15:40  |  발행일 2023-07-24
대구시 28일 기회발전특구 추진단 킥오프회의 개최
대구 3개 산업특구 지정 프로젝트 본격 스타트
대구 북구 산격동 옛 경북도청(현 대구시청 산격청사). 영남일보 DB
대구시가 이번주부터 3개의 '산업특구(特區)'를 손에 거머쥐기위한 대장정에 돌입한다. 윤석열정부의 새 균형발전정책인 '기회발전특구'를 비롯해 '글로벌 혁신특구' '도심융합특구' 지정을 정조준하고 있다. 내년 하반기까진 모두 선정 여부가 판가름난다.

 

이른바 '대구 3특구' 쟁취를 위한 첫 행보는 기회발전특구(ODZ)부터 시작된다.


대구시는 28일 기회발전특구 추진단 '킥오프 회의'를 진행한다. 기회발전특구는 비수도권에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정부가 지정한다. 각종 규제 특례가 적용되고, 법인세·상속세·양도소득세 등 조세감면이 뒤따른다.


수도권에 소재한 기업이 대구로 본사를 이전해야 조세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비수도권 기업의 경우 본래 사업장(본사 포함)을 지방에 그대로 두고, 대구에 공장을 신·증설해야만 조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비수도권내 기업이동은 실질적 투자 및 고용 증대가 아니는 정부판단에서다. 현재 대구국가산단 2단계 부지와 수성알파시티가 ODZ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사업에 도전하는 대구는 로봇분야를 염두에 두고 있다. 대구시는 9월13일까지 특구 신청을 제출할 예정이다. 비수도권 지자체 2곳이 선정된다. 올해 10월 중에 결과가 나온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기존 규제자유특구의 확장판이다. 이 사업 성과가 중요하다. 2000년 8월부터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사업(298억원)을 진행중인 대구는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여긴다. 우수특구로 지정돼 국비 인센티브(25억원)를 받았다. 8월중 예상되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테크노폴리스)의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을 넘기면 글로벌혁신특구 지정 가능성은 한층 높아진다.


도심형 융합특구는 상대적으로 다른 2개 특구보다 선정 가능성이 크다. 이미 2020년 12월 광주· 대전·부산·울산과 같이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로 선정돼 있어서다.


올 8~9월중 도심융합특구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되면 내년 상반기부터 특구지정 절차가 시행된다. 기존 선도 사업지가 탈락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늦어도 내년 하반기쯤에는 대구의 경북도청 후적지, 경북대(인재양성), 삼성창조캠퍼스(창업허브)가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될 것으로 보인다. 핵심사업은 도청 후적지에 로봇과 정보통신업체(ICT)를 중심으로 산업·주거·문화가 한데 어우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최수경·손선우기자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