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신공항의 핵심 배후도시로 각광받는 구미에서 지난 6~8일 '2023 경북도 항공방위물류 박람회'가 열려 주목을 끌었다. 올해 처음 열린 이 박람회는 구미시가 TK신공항 개항에 앞서 항공·방위·물류 분야에서의 기업 투자와 방위산업 국책기관 유치를 위해 선제적으로 마련한 것이어서 의미가 크다. UPS코리아·에어버스 한국지사·한국공항공사 등 70여 개 기업과 기관이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니 TK신공항 개항이 다가올수록 연관 기업의 관심과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구미시가 항공·방위·물류 분야 기업을 성공적으로 유치하려면 TK신공항 접근성이 가장 중요하다. 구미산단과 TK신공항은 직선거리로 불과 10㎞에 불과해 연결 교통망 구축이 크게 어려울 게 없다. 문제는 속도다. 도로·철도 등을 통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광역교통망 신설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북구미나들목(IC)~군위분기점(JC)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타당성 조사를 시작으로 순조롭게 추진돼야 한다. 경부·중앙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이 고속도로는 신공항 활성화는 물론 대전·충청을 아우르는 중남부 광역경제권 형성에도 필요하다. 또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전주~김천, 의성~영덕 구간에 구미~신공항~의성 구간을 접목하는 '동서횡단철도' 연장도 이뤄져야 한다.
경북의 항공수출액 중 구미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93%에 달한다. 신공항이 개항하면 구미시는 경북을 넘어 전국적인 항공수출 전진기지가 될 것이다. 반도체와 방위산업 중심지로 떠오르는 구미시가 공항복합도시라는 또 하나의 날개를 달고 힘차게 비상하기를 바란다.
구미시가 항공·방위·물류 분야 기업을 성공적으로 유치하려면 TK신공항 접근성이 가장 중요하다. 구미산단과 TK신공항은 직선거리로 불과 10㎞에 불과해 연결 교통망 구축이 크게 어려울 게 없다. 문제는 속도다. 도로·철도 등을 통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광역교통망 신설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북구미나들목(IC)~군위분기점(JC)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타당성 조사를 시작으로 순조롭게 추진돼야 한다. 경부·중앙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이 고속도로는 신공항 활성화는 물론 대전·충청을 아우르는 중남부 광역경제권 형성에도 필요하다. 또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전주~김천, 의성~영덕 구간에 구미~신공항~의성 구간을 접목하는 '동서횡단철도' 연장도 이뤄져야 한다.
경북의 항공수출액 중 구미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93%에 달한다. 신공항이 개항하면 구미시는 경북을 넘어 전국적인 항공수출 전진기지가 될 것이다. 반도체와 방위산업 중심지로 떠오르는 구미시가 공항복합도시라는 또 하나의 날개를 달고 힘차게 비상하기를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