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 북구의 한 산후조리원에서 산모가 아기를 돌보고 있다. 영남일보DB |
![]() |
<보건복지부 제공> |
![]() |
1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대구지역 민간산후조리원은 지난 2014년 32곳이었으나 올해는 21곳으로 10년 새 34.4% 줄었다. 전국적으로 같은 기간 592곳에서 20.8%(123곳)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대구의 감소 추세는 훨씬 더 가파르다.
이 같은 감소 추세를 이유로 대구시는 공공산후조리원 대신 산모를 위한 지원금 지급으로 정책을 변경했다. 김신영 대구시 출산보육과장은 "공공산후조리원은 민선 7기 당시 공약 사업으로 많은 검토가 있었지만 당시 시민 공약평가단, 전문가, 민간산후조리원 등 의견을 종합한 결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현재는 '대구형 산모 건강관리사 파견' 정책으로 산모를 지원하고 있다. 추후에도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의료 여건이 열악한 지역에선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에 적극적이다. 2020년 6월 기준 전국에서 7곳이던 공공산후조리원을 올 6월에는 총 18곳으로 크게 늘었다. 특히 경북에선 다음 달 개원하는 상주 공공산후조리원을 비롯해 4년 새 3곳의 공공산후조리원이 문을 열었다.
![]() |
대구엔 공공산후조리원이 단 한 곳도 없다. 대구시는 한 때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을 적극 추진했으나, 민간산후조리원이 갈수록 줄어들자 이를 없던 일로 했다고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
박충배 대구 수성구의회 의원은 최근 열린 본회의에서 "공공산후조리원은 향후 5~10년을 바라보고 시행해야 하는 정책이다. 당장 적자를 보더라도 미래를 위한 투자 개념으로 접근해 산모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산후 조리를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태강 수습기자 tk11633@yeongnam.com

김형엽

김태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