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27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민주당은 이 대표 영장 기각을 계기로 정부와 여당에 십자포화를 쏟아 붓고 있다.
신임 홍익표 원내대표는 2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윤석열 대통령은 검찰에 의존한 정치 무력화를 멈추고 국회와 야당을 존중하는 태도로 정치를 복원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면서 "무리한 정치 수사에 대한 대통령의 공식 사과와 실무 책임자인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파면이 그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회를 통과한 국무총리 해임건의안에 대해서도 국회의 판단과 요구를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했다.
영장 기각으로 친명 지도부는 당 장악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리고 있다. 검찰의 영장 재청구 가능성도 있지만 당 지도부는 '정치 검찰 조작 수사' 주장으로 당내 '반발 여론'을 잠재우는데 주력하고 있다.
가결표 의원에 대한 일부 징계도 예상된다. 지도부는 이 대표 체포동의안에 가결표를 던진 것은 당 분열을 조장한 명백한 해당 행위이기 때문에 그냥 묻고 넘어갈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당 장악력을 확실히 하고, 대여 투쟁 동력을 얻기 위해서라도 일벌백계는 불가피하다는 것이 친명계의 주된 목소리다.
또 이 대표에 대해 의심을 품었던 당내외 여론도 크게 반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장 기각이 무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검찰의 무리한 수사'라는 사실은 명확해졌다는 판단이다.
다만 검찰이 구속영장을 재청구할 경우 이미 한계를 넘긴 반발 표심을 어떻게 찍어 누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 때문에 비명계 끌어안기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시각도 있다. 문제는 비명계를 중심으로 이미 '심리적 분당' 수순을 밟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가 이 대표 체포동의안에 찬성한 의원에 대한 '보복성 징계'를 예고하면서 계파 갈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실제, 비명계로 분류되는 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가결표를 던졌다는 의심을 받으며, 온라인 커뮤니티에 살해 협박 게시글이 올라와 경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글을 올린 20대가 자수했지만 비명계를 바라보는 민주당 강경 지지층의 시각이 얼마나 험악한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결국 이 대표가 직접 어떤 목소리를 내느냐에 따라 민주당의 모습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단합으로 갈지,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질 지의 갈림길이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