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오후 서문시장 골목에 점포들이 밀집해 있다. 김태강 수습기자 |
대구지역 전통시장이 화재 위험은 전국 상위권이지만 화재공제 가입률은 전국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로 인한 손실로부터 점주를 보호하고 예방하는 정부와 지자체의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단 주장이 나온다.
19일 국민의힘 양금희 의원(대구 북구갑)이 중소벤쳐기업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지역 전통시장 중 안전 수준이 '심각' 단계인 D등급 이하를 받은 비율이 소방분야 26.4%, 가스 27.8%, 전기 20%로 집계됐다. 소방과 전기의 위험 비율은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았고, 가스는 부산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이처럼 전통시장의 화재 위험은 높은 편이지만, 화재 발생 시 상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공제 가입률은 저조한 상황이다. 소상공인진흥공단 조사 결과 지난해 8월 기준 대구 전통시장의 화재공제 가입률은 25.4%로 전국 평균(27.5%)에 미치지 못했다. 대구보다 가입률이 낮은 지역은 세종(10.4%), 서울(19.8), 광주(23.3%) 등 3곳뿐이었다.
시설이 노후화하고 점포가 밀집해 있는 전통시장에서 화재 발생 시 대형화재로 이어지기 쉬워 재산 피해가 막대한 경우가 많다. 실제로 지난 2016년 서문시장은 대형화재가 발생해 총 469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지만, 당시 개별 화재보험에 가입한 상인들이 전체 30%에 불과했다.
지자체는 전통시장의 화재공제 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보험료를 지원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다수 점포가 가입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대구시와 각 구·군은 지난해부터 지역 내 전통시장 화재공제 보험료의 각각 40%, 30%를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대구 지역 전통시장의 화재공제 가입률은 보험료 지원 사업을 시작한 지난해 1월 기준 8.3%에서 올해 8월 기준 27%까지 상승했지만, 여전히 70%가 넘는 점포가 가입하지 않고 있다. 화재공제에 가입해도 보상금액이 낮아 상인들에게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화재공제 지원뿐만 아니라 전통시장 화재 예방에도 관심 가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지수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대구 전통시장의 경우 섬유류와 한복, 가죽 제품을 주로 판매해 화재에 취약하지만 소방 관련 시설의 노후화 정도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정부나 지자체가 전통시장 화재 관련 예산과 R&D(연구개발)에 더 투자해야 한다. 서문시장과 같은 화재 위험이 큰 시장을 테스트 베드로 선정해 이를 주변 시장으로 점차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태강 수습기자 tk11633@yeongnam.com

김태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