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억 칼럼] 박근혜와 22대 총선

  • 김기억
  • |
  • 입력 2023-10-23  |  수정 2023-10-23 06:54  |  발행일 2023-10-23 제22면
여권 강서구청장 선거 참패
尹 대통령 지지율 하락
朴 전 대통령 내년 총선
등판 변수 아닌 상수 될 수도
여권 朴 등판 상황 막아야

[김기억 칼럼] 박근혜와 22대 총선
서울본부장

최근 치러진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가 내년 총선 시계를 앞당기고 있다. 선거에서 참패한 국민의힘의 발걸음은 더욱 빨라지고 있다. 임명직 지도부를 전원 교체했지만 여론은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여기에 유승민 전 의원과 이준석 전 대표발(發) 헤어질 결심과 신당 창당설까지 나돌고 있다. 정치판이 뒤숭숭하다. 윤석열 정부의 운명이 내년 총선 결과와 직결되는 만큼 이 정도의 술렁임은 당연하다. 올 연말쯤은 그야말로 정치판은 요동칠 수밖에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총선 등판 여부도 중요 관심사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대구 달성 사저 인근 현풍시장을 찾았다. 그동안 동화사, 박정희 대통령 생가 등을 방문하기도 했지만, 정작 사저로 내려온 후 마실 나들이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정치 행보를 위한 몸풀기 아니냐는 정치적 의미를 부여했다. 적어도 그 당시만 해도 정치적 행보는 아니었다. 박 전 대통령은 이날 환영 나온 주민들에게 "오래전에 오려고 했는데 (건강상의 이유 등으로) 이렇게 늦어졌네요"라면서 인사를 나눴다. 오랫동안 자신을 지지해 준 정치적 고향인 달성군민들과 만나고 싶다는 순수한 마음이 더 컸을 것으로 짐작된다.

지금은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 국민의힘은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참패했고,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일부 여론조사(지난 17일 뉴스토마토 보도)에서는 20%대로 나타났다. 변수로 존재했던 박 전 대통령의 내년 총선 등판이 상수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인은 여전히 현실 정치와 거리를 두고 있지만, 외부 환경은 박 전 대통령을 총선 판으로 소환 가능성을 열고 있다. 대통령 지지율과 박 전 대통령 총선 등판은 무관할 수 없다.

대통령 지지율은 총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다. 통상 정권 중반기에 치러지는 총선은 정권 심판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대통령 국정 지지율 45%를 총선 승패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즉 대통령 지지율이 40~45%이면 여권이, 그 이하면 야권이 승산이 있다는 얘기다. 역대 총선에서 대통령 지지율이 45%를 넘었던 2008년 선거(이명박 대통령 지지율 52%)와 2020년 21대 총선(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59%)은 여당이 이겼다. 2016년 20대 총선(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39%)은 여당이 한 석 차이로 패했다. 대통령 지지율과 총선에서의 여권 국회의원 수와 묘한 상관관계가 있다. '대통령 지지율 3배 공식'이다. 20대 총선 때는 여권이 122석(대통령 지지율 39%×3.12), 21대 때는 180석(대통령 지지율 59%×3.05)을 차지했다. 이 같은 공식이 적용된다면 지금의 대통령 지지율로는 여권은 최악의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

여권이 내년 총선에서 과반 가까운 의석을 확보하려면 대통령 지지율이 최소 45% 이상 돼야 한다. 지금 같은 여론 추이로는 도달하기 쉽지 않은 수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른바 보수대연합이란 명분으로 선거의 여왕으로 불려온 박근혜 전 대통령의 등판을 요청할 수 있다. 설혹 박 전 대통령이 총선 구원투수로 등판하더라도 경계해야 할 점은 분명 있다. 특정 정치 세력(친박 등)을 지지하는 모양새를 띠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는 보수 연합이 아니라 보수 분열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럼에도 역설적이지만 여권은 박 전 대통령을 내년 총선 판에 등장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선거 전략이다.서울본부장

기자 이미지

김기억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