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마을금고. 연합뉴스 |
29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최근 새마을금고 내에선 지난해 말 대구지역 12개 새마을금고에서 진행한 다인건설 집단대출이 뱅크런 사태의 시발점이라는 내용의 소문이 나돌고 있다.
다인건설은 2016년부터 대구에 오피스텔 공사를 진행했다. 대현·큰고개·성일 등 지역 새마을금고 12곳이 2천600억원가량을 집단대출해줬다. 하지만 공사는 건설사의 사기 분양 혐의 및 자금난 등으로 4년 가까이 지체됐다. 이 과정에서 해당 금고는 집단대출을 6번 연장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해당 집단대출을 '회수의문'으로 분류하고 각 금고에 대출 잔액의 최소 55%를 대손충당금으로 쌓으라고 요구했다. 이에 해당 금고들은 중앙회를 상대로 효력 정지 가처분을 신청했다가 이내 철회했다. 이후 '다인건설 사태'는 공사가 재개되면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대구지역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지역 12개 금고가 다인건설 사업장에 대출을 시행하면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지 않아 '뱅크런' 사태가 터졌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얘기"라며 "물론 다인건설 사태에 있어 지역 새마을금고도 분명 잘못이 있다. 그러나 당시 규정을 변경하면서까지 이자율을 0%로 만들어 준 중앙회의 시스템이 더 큰 문제였다"고 주장했다.
새마을금고 위기는 지난해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예견됐다. 새마을금고는 경쟁이 치열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 뒤늦게 뛰어들면서 일선 지역 금고를 중심으로 대출을 해줬다. 단기간에 수익을 내기 위해 다른 상호금융권보다 규제를 완화하면서까지 부동산PF 규모를 무리하게 키웠다. 결국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가라앉으면서 부실이 커졌다.
여기에 감독체계 및 내부통제 부실, 임직원 횡령 등 도덕적 해이 문제까지 겹치면서 고객신뢰를 잃게 됐다는 평가다.
실제 7월 경기도 남양주시 동부새마을금고는 600억원 규모의 부동산대출 악성채권에 따른 부실을 감당하지 못해 폐업했고, 이어 인근 '화도새마을금고'에 합병됐다. 폐업 소식에 수많은 고객이 금고를 찾아 예금을 인출했다. 이른바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의 시작이었다. 이후 위기설이 확산되면서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는 전국으로 확산됐고, 7월에만 17조원 이상이 인출됐다.
최근 경찰도 남양주 동부새마을금고 사건이 건설업자에게 무리하게 진행한 부동산대출에서 비롯됐다고 결론 냈다. 이와 관련 사기 및 업무상배임협의로 금고직원과 건설업자는 검찰에 구속 송치됐고, 해당 금고 전무는 불구속 송치됐다.
한편, 2018년부터 새마을금고중앙회를 이끌어 온 박차훈 전 회장은 거액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 등으로 현재 기소된 상태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이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