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MF 한국경제성장률 장기 전망치. |
향후 5년간 우리나라 경제의 평균 성장률이 2%안팎에 머물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오는 2028년까지 2%대 초반의 성장세를 보여 사실상' 저성장의 늪'에 갇힐 것이라는 것이다.
19일 IMF가 발표한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올해 1.4%→내년 2.2%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그 이후로는 2.1~2.3% 범위에서 소폭 등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도별로 보면, 2025년 2.3%를 기록했다가, 2026년과 2027년 각 2.2%, 2028년에는 2.1%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일단 올해와 내년 성장 전망치에는 중국의 경기회복세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의 성장 전망치가 상향 조정될 여지는 남아 있다.
하지만 중기적 관점에선 2%대 초반의 성장세에 한동안 머물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들여다보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 안팎의 잠재성장률 수준을 벗어나긴 힘들다는 의미로도 받아들여진다. 잠재성장률은 한 나라의 노동·자본·자원 등 생산요소를 총 동원해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을 뜻한다.
IMF는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올해 2.1%, 2024~2025년엔 2.2%, 2026~2028년엔 2.1%로 각각 추산했다.
앞서 IMF는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3.6%로 예상했다. 지난 10월 세계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비율(3.4%)보다 0.2%포인트 높다.
내년 물가상승률도 종전(2.3%)보다 0.1%포인트 높은 2.4%로 전망한 바 있다.
물가 상승세가 둔화돼 내년 말에는 한은의 물가안정목표(2%)를 달성할 것으로 본 것이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