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특화도시 개요. <대구시 제공> |
먼저 대구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한 특화 단지에 155억원을 투입해 글로벌 모터 생산 거점을 조성한다. 모터 소부장 앵커기업-협력기업 간 밸류체인 강화를 위한 산업 집적과 핵심 기술 국산화가 목표다. 모터특화 산업혁신생태계를 구축을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경창산업, 대동모빌리티 등 7개 앵커 기업에 선제적으로 기술 지원을 할 수 있도록 27억원을 들여 '모빌리티 모터 혁신기술'을 육성한다. 전자파 장애평가시스템(25억원)과 모터 성능인증 및 고장분석 지원을 위한 '특화단지 테스트베드(49억원)'도 구축한다.
영남일보 DB |
미래모빌리티 전장부품 개발 및 자율주행 실증기반도 확충한다. 특히 최근 글로벌 완성차업체의 중점분야로 떠오른 SDV(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와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시장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인프라를 서둘러 확보할 예정이다. SDV 전장부품 보안평가센터 구축(50억원)과 서비스 맞춤 모빌리티 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53억원)사업이 눈에 띈다.
도심형 자율주행 실증기반 확보와 관련해선 CAV(커넥티드 자율주행차)에 기반한 미래 모빌리티 자율주행 평가 플랫폼 구축(45억원)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지역 기업의 자율주행 레벨4 시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미래차 디지털 융합산업 실증 플랙폼 구축(110억원)사업은 자율주행 실증도로(158㎞)를 확충해 기업들이 부품단위 및 완성차 장착형 실증을 할 수 있는 인프라다.
UAM(도심항공교통)서비스 및 산업기반 구축과 관련해선 정부가 주관하는 지역 UAM 시범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SKT-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 컨소시엄 등 선도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응급구조 공공형 모델을 마련한다.
항공용 전기추진체 핵심부품의 기술력을 확보해 국산 기체를 양산할 수 있는 공급망 구축도 적극 지원한다. 지역 모터 특화단지 앵커 기업들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간 상생 협력사업으로 통해 구현한다. '마중물 사업'의 일화으로 한화시스템과 핵심기술개발(7억원)도 진행한다.
아울러 다음달 부터 768억원을 투입해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 6천274대(전기차 5천502대, 이륜차 700대, 수소차 72대)를 보급하고, 충전기 4천기도 추가 설치한다. 올해부터는 전기차 공용충전기업무를 민간위탁한다. 민간 기술과 전문인력을 충분히 활용, 충전서비스 산업생태계를 보다 폭넓게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가 미래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전국 1위 도시가 되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