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 지방시대위원들이 30일 도청에서 열린 올해 첫 회의를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 지방시대위원회는 30일 도청에서 첫 회의를 열고, 기회발전특구 추진 상황 점검과 함께 7건의 안건(의결 5건·보고 2건)을 심의했다.
경북도 지방시대위원회는 기존 분권협의회와 지역혁신협의회를 통·폐합해 지난해 10월 30일 새롭게 구성됐으며, 김상동 경북도립대 총장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분과위원회 구성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 △대구·경북 초광역권 발전 시행계획 △교육 발전 특구 시범지역 운영 △경계 지역 기본계획을 의결하고, 기회발전 특구 추진 상황과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변경 계획을 보고받았다.
도는 지방시대 시행계획안이 통과됨에 따라 5대 전략, 22개 핵심 과제, 344개 세부 사업에 2조7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대구·경북 초광역권 발전 시행계획에는 12개 핵심 과제, 18개 세부 사업에 1천8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또 이날 의결된 교육 발전 특구 시범지역 운영에 따라 2개 이상 시·군과 도지사·교육감이 협력하는 3유형에 안동·예천이 신청하고, 기초자치단체장과 교육감이 협력하는 1유형에는 포항, 구미, 상주, 칠곡, 봉화, 울진, 울릉 7개 시·군이 도전한다.
이밖에 도는 시·군 간 경계지역 격차를 보완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역개발 및 정주 여건, 산업경제 및 과학기술, 문화관광, 사회복지 및 공동체, 농업·산림 및 환경, 도로·교통 등 6개 분야에 60개 사업을 발굴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총선 이후로 연기된 산업부의 기회발전특구에 대한 경북도의 추진 상황과 스마트그린물류규자유특구 변경 계획안이 지방시대위원회에 보고됐다.
김상동 경북도 지방시대위원장은 "대한민국 어디에서나 공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방시대의 완성을 통해 의료격차, 문화 격차, 저출생 문제 등을 해결해 나가야 한다"며 "경북 지방시대위원회가 중추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