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증강현실 기술 접목 현장 철도차량 정비 활용 예시. 경북도 제공 |
경북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산업 메타버스 플래그십 프로젝트' 공모사업에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산업 메타버스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주요 산업 분야별 혁신 사례를 발굴, 민간 주도의 신시장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과기부는 올해 운영, 물류, 에너지, 안전 분야 과제를 각 1개씩 선정해 2년간 최대 40억을 지원한다.
경북도는 포스텍, 단디소프트<주>, 경북ICT융합산업진흥협회와 함께 '철도 차량 가용성 향상을 위한 AI융합형 통합정비 공정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을 주제로 운영 분야에 참여해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경북도 컨소시엄은 철도기지 공간, 차량, 부품을 가상공간에 똑같이 구현해 신속하고 정확한 차량 정비와 효율적인 통합 관제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게 된다.
이를 통해 현장과 가상공간을 연동, 현장 작업자 관제실에 있는 의사 결정자와 해외 기술자가 실시간으로 협업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한다.
또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 정확한 오류발생 지점과 내용을 바탕으로 차량 정비가 이뤄질 수 있는 정비 품질 검수 서비스를 개발하게 된다.
인공지능도 활용한다. 차량 모터, 부품의 소리나 진동의 이상 상황을 감지해 대응하는 기술이다.
이정우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플랫폼이 구축되면 현장 상황을 시·공간을 초월해 대응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차량 유지보수가 가능하다"며 "플랫폼과 솔루션이 도입되면 신속 정확한 차량 검수 및 정비를 통해 교통 이용 환경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2년 동안 진행되는 이 사업은 경기 고양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대상으로 하며, 2차 연도에는 포항차량기지를 대상으로 개발된 플랫폼 및 솔루션을 도입한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