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회의 "북·러 군사협력 증가 강력 규탄"

  • 박주희
  • |
  • 입력 2024-06-15 11:03  |  수정 2024-06-17 19:22  |  발행일 2024-06-15
공동성명 발표…"러 핵과 탄도미사일 기술 북한 이전 우려"

"언제까지나 우크라 지원…러, 675조 전쟁피해 배상해야"

중국엔 "러시아에 무기 부품 등 물품 지원 중단할 것" 촉구
G7 정상회의 북·러 군사협력 증가 강력 규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이탈리아 풀리아주에서 각국 정상들이 14일(현지시간) 기념 촬영에 응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14일 저녁(현지시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증가를 한목소리로 강력히 규탄했다. 또한 러시아의 핵과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이 북한에 이전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중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G7 정상들은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재건을 위해 시간이 얼마 걸리든 지원하기 위해 연대하고 있다며 흔들림 없는 지원을 약속했다. 중국엔 러시아에 무기 부품 등의 물품 지원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G7 정상들은 이탈리아 풀리아에서 열린 정상회의 폐막을 하루 앞두고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출과 러시아의 조달 그리고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러시아의 이러한 미사일 사용 등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 협력 증가를 가능한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는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핵 또는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될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는 러시아와 북한이 이러한 모든 활동을 즉각 중단하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G7 정상들은 또 북한의 계속되는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 기술을 이용한 발사도 비판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의 모든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폐기를 거듭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G7 정상들은 공동성명에서 국제사회 최대 현안인 우크라이나 사태를 가장 먼저 거론했다.
이들은 "우리는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재건을 위한 투쟁을 위해 시간이 얼마 걸리든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연대하고 있다"며 "우리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동결된 러시아 국유 자산의 특별 수입을 활용해 약 500억달러(약 68조5천억원)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G7 정상들은 러시아가 불법적인 침략 전쟁을 끝내고 우크라이나에 끼친 4천860억달러(약 675조원)에 달하는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며 러시아가 이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모든 합법적인 방법을 계속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G7 정상들은 가자지구의 즉각적인 휴전, 모든 인질 석방, 두 국가 해법을 담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제시한 3단계 휴전 협상안에 대해 전폭적인 지지 입장을 재확인했다.
G7 정상들은 이스라엘에 대해서도 가자 최남단 라파 공세 자제를 촉구했다.

중국에 대한 경고 메시지도 공동성명에 담겼다.
G7 정상들은 "러시아의 방위 산업 기지에 대한 중국의 지속적인 지원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불법적인 전쟁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며 "우리는 중국이 러시아 국방 부문에 투입되는 무기 부품·장비를 포함한 이중용도 물품의 이전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G7 정상들은 중국의 불공정한 사업 관행이 자국 노동자와 산업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처할 것을 다짐했다.

이밖에 G7 정상들은 인공지능(AI) 이점을 활용하고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제한하겠다는 G7의 약속은 굳건하다고도 했다.

성평등에 대한 약속도 재확인했다. G7 정상들은 국제 금융기관과 함께 여성의 성 역할 강화를 위해 3년간 최소 200억달러(약 27조8천억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지난해 히로시마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담겼던 "안전하고 합법적인 낙태에 관한 접근성" 문구는 올해 G7 의장국인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의 반대로 인해 이번 공동성명에는 빠졌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주희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국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