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44개 기업·기관들이 모인 'SMR(소형 모듈 원자로) 얼라이언스'가 정식 협회로 거듭난다. 민간의 원전시장 참여가 확대되고, SMR 산업이 활기를 띨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 무엇보다 대구 군위 첨단산업단지 내 SMR 건설 계획에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SMR 얼라이언스 1주년 총회'를 열었다. 특히 이날 SK<주> 등 SMR 얼라이언스 회원사는 SMR 사업개발 전략과 제도화를 구체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얼라이언스의 사단법인화 방안을 제시했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SMR 도입이 반영되는 등 사업화 여건이 조성된 데 따른 결정이다.
SMR 얼라이언스는 지난해 7월 출범했다. SK를 회장사로 두고, GS에너지 등 31개 대·중견·중소 민간기업과 한국수력원자력, 에너지경제연구원, i-SMR 사업단 등 11개 공공기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SMR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SMR 활용 사업 전략 수립과 제도 기반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 수립을 추진 중이다.
SMR 얼라이언스가 협회로 거듭나면 민간이 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협회는 향후 국내외 다양한 SMR 활용 사업 수행 기업의 목소리들을 정부·국회 등에 전달할 창구가 될 수 있다. 협회 출범 시점은 내년 상반기로 보고 있다.
대구도 이 같은 분위기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군위 첨단산단에 SMR(680㎿ 규모)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어서다.
대구시는 최근 한수원과 SMR 사업화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 국내 1호 SMR 건설을 정조준하고 있다. 한수원은 혁신형 SMR(i-SMR) 개발 및 표준설계인가를, 대구시는 SMR 건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맡기로 했다. 2026년까지 타당성 조사를 완료한 후 이르면 2031년쯤 상업운전을 하는 게 목표다.
한편 이날 산업부는 SMR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 방향도 공유했다. 주요 전략으로 △한국형 i-SMR 건설 및 운영 지원 △SMR 활용 민간 비즈니스 촉진 △파운드리 구축 △인프라 정비를 제시했다. i-SMR의 초도 호기 건설·운영에 필요한 '실증지원 사업' 추진, 민간 합작형태의 사업화 법인(가칭 'i-SMR 홀딩스') 설립이 논의됐다. SMR 등 원전산업 투자용으로 800억원 규모의 정책펀드 조성계획도 거론됐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SMR 얼라이언스 1주년 총회'를 열었다. 특히 이날 SK<주> 등 SMR 얼라이언스 회원사는 SMR 사업개발 전략과 제도화를 구체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얼라이언스의 사단법인화 방안을 제시했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SMR 도입이 반영되는 등 사업화 여건이 조성된 데 따른 결정이다.
SMR 얼라이언스는 지난해 7월 출범했다. SK를 회장사로 두고, GS에너지 등 31개 대·중견·중소 민간기업과 한국수력원자력, 에너지경제연구원, i-SMR 사업단 등 11개 공공기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SMR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SMR 활용 사업 전략 수립과 제도 기반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 수립을 추진 중이다.
SMR 얼라이언스가 협회로 거듭나면 민간이 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협회는 향후 국내외 다양한 SMR 활용 사업 수행 기업의 목소리들을 정부·국회 등에 전달할 창구가 될 수 있다. 협회 출범 시점은 내년 상반기로 보고 있다.
대구도 이 같은 분위기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군위 첨단산단에 SMR(680㎿ 규모)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어서다.
대구시는 최근 한수원과 SMR 사업화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 국내 1호 SMR 건설을 정조준하고 있다. 한수원은 혁신형 SMR(i-SMR) 개발 및 표준설계인가를, 대구시는 SMR 건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맡기로 했다. 2026년까지 타당성 조사를 완료한 후 이르면 2031년쯤 상업운전을 하는 게 목표다.
한편 이날 산업부는 SMR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 방향도 공유했다. 주요 전략으로 △한국형 i-SMR 건설 및 운영 지원 △SMR 활용 민간 비즈니스 촉진 △파운드리 구축 △인프라 정비를 제시했다. i-SMR의 초도 호기 건설·운영에 필요한 '실증지원 사업' 추진, 민간 합작형태의 사업화 법인(가칭 'i-SMR 홀딩스') 설립이 논의됐다. SMR 등 원전산업 투자용으로 800억원 규모의 정책펀드 조성계획도 거론됐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