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일 한국국토정보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 회의실에서 공간 정보 기반 광역-기초 업무 활용 플랫폼 GBinPLUS+ 2단계 사업 중간 보고회를 열렸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와 한국국토정보공사(이하 LX)가 현재 공동개발 중인 전국 최초로 공간 정보에 기반한 광역-기초 업무 활용 통합 플랫폼 'GBinPLUS+'의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기존 제공되던 공공데이터 범위를 정주 환경 분석과 투자 입지 분석까지 확대한다
경북도는 12일 LX 대구경북지역본부 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구-산업 통합플랫폼 GBinPLUS+ 2단계 사업 중간 보고회를 열었다.
앞서 지난해 11월 완료한 1단계 사업에선 인구·산업 분야의 행정·공공·민간 데이터를 활용·분석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2단계 사업에선 정주 환경 분석과 투자 입지 분석 서비스를 신규 추가한다.
경북도 역점 사업인 저출생 극복에 특화된 정주 환경 분석 서비스는 도내 정착을 희망하는 유입 인구를 대상으로 정량적인 정주 환경 데이터 제공을 목표로 한다. 투자 입지 분석 서비스는 신속한 투자유치가 필요한 지역의 건축물 및 시설물 현황과 법률 규제에 따른 입지 가능성을 사전에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공한다. 이용자는 해당 데이터를 통해 지역 입지를 분석하고, 도는 지역 내 투자 유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는 2단계 사업을 통해 기존 인구와 산업 통계, 분석 서비스 기능 등을 고도화해 업무 담당자의 활용도와 편의성도 높일 방침이다. 인구 데이터는 내국인에서 외국인까지, 읍면동 단위에서 통 단위까지 제공 범위를 확대한다.
경북도는 내년 말까지 GBinPLUS+의 고도화 작업을 마친 뒤, 지자체 행정 서비스에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이정우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인 GBinPLUS+가 디지털 업무혁신과 함께 보다 차별화되고 지속 가능한 정책 수립을 지원하도록 고도화시키겠다"고 말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