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기관 감기 등 비응급 환자 진료 거부해도 '면책'

  • 이동현
  • |
  • 입력 2024-09-16 13:24  |  수정 2024-09-16 13:29  |  발행일 2024-09-16
복지부, 지난 15일 전국 17개 시도 및 대한병원협회 등에 공문

'응급의료법상 진료 거부의 정당한 사유 지침 안내' 사례 명시
응급의료기관 감기 등 비응급 환자 진료 거부해도 면책
대구 경북대병원 응급의료센터. 영남일보 DB

앞으로 응급의료기관에서 감기 등 경증·비응급 상황의 환자를 수용하지 않거나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진료를 거부해도 의료진이 책임을 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16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응급의료법상 진료 거부의 정당한 사유 지침 안내' 공문을 전날 전국 17개 시·도와 대한병원협회, 대한의사협회, 대한간호사협회 등에 전달했다.

응급의료법 제6조는 응급의료종사자가 업무 중에 응급의료를 요청받거나 응급 환자를 발견했을 때 곧바로 의료행위를 하도록 하는데, 복지부는 이 지침을 통해 정당한 진료 거부 사례를 명시했다.

복지부는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 4∼5급에 해당하는 경증·비응급 환자를 응급실에서 수용하지 않더라도 의료진에 책임을 묻지 않기로 했다. KTAS 4급은 준응급, 5급은 비응급 환자다.

또 응급실에서 폭력이 발생하거나 그럴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정당한 진료 거부·기피로 규정했다. 해당 내용은 응급의료 종사자에 대한 폭행이나 협박, 위계, 위력 혹은 의료용 시설·기물의 손괴 등이다.

복지부는 환자나 보호자가 모욕죄나 명예훼손죄, 폭행죄, 업무방해죄에 해당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의료인이 정상적인 의료행위를 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도 정당한 진료 거부로 간주할 예정이다.

이 밖에 응급의료기관의 인력이나 시설, 장비가 부족해 적절한 응급의료 행위를 할 수 없는 경우 통신·전력 마비나 화재 등 재난 때문에 환자를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의료진이 정당하게 진료를 거부할 수 있게 했다.

의료진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의료인의 치료 방침에 따르지 않겠다고 하거나 의료인으로서의 양심과 전문 지식에 반하는 치료 방법을 요구받는 경우에도 진료를 거부할 수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그동안 애매했던 정당한 진료 거부의 기준을 명확히 했다"며 "추석 연휴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쭉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동현기자 leed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동현

산소 같은 남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