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보경사 오층석탑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浦項 寶慶寺 五層石塔)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했다고 16일 밝혔다.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은 북구 송라면 보경사 경내 적광전과 천왕문 사이에 있는 높이 4.6m 석탑이다.
단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석(塔身石, 몸돌)과 옥개석(屋蓋石, 지붕돌)으로 구성된 탑신부가 있으며, 상륜부는 노반석과 복발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1588년 사명대사 유정이 쓴 '내연산보경사금당탑기'에 고려 현종 14년인 1023년 사찰에 탑이 없어 청석으로 5층탑을 만들어 대전 앞에 놓았다는 내용을 볼 때, 이 석탑은 1023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은 석탑 전체 비례와 1층 탑신석 앞에 석탑 안에 사리가 모셔져 있음을 의미하는 문비형과 자물쇠, 문고리 조작이 표현돼 있다.
1층과 2층 옥개석 하부에는 물끊기 홈이 있다. 이 물끊기 홈은 1층 탑신석에 문비형과 자물쇠를 새긴 조각기법과 함께 1010년 건립된 보물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과 1031년 건립된 보물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에도 확인된다.
이처럼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은 조성 시기에 대한 기록이 명확하고, 11세기 석탑의 전형적인 조영 기법과 양식 등이 잘 나타나 있어 역사적, 학술적으로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이번에 지정한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이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