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시와 K-water가 함께 추진한 '물순환 선도 도시 조성 사업'이 마무리돼 18일 안동국제컨벤션센터에서 준공식을 가진다.
행사는 물순환 선도 도시 조성을 기념해 국제 물순환 콘퍼런스와 물순환 솔루션 기술박람회가 함께 진행된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과 김형동 국회의원,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지자체 관계자, 시민 등 500여 명이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안동시는 환경부 정책에 따라 2016년 대전·울산시 등과 함께 물순환 도시로 선정된 후 410억원을 들여 저영향개발기법(LID)을 도입해 빗물이 자연적으로 흡수, 저장될 수 있도록 8년간 사업을 펼쳐왔다.
물순환 도시사업은 크게 공간과 도로로 구분하는데, 공간은 총 3곳으로 안동시청과 음식의 거리에 투수 블록을 설치, 빗물이 땅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해 물 고임 방지와 열섬현상 완화 등 도심 환경 개선에 주력했다.
탈춤 공원에는 빗물 재이용을 위한 특화설계를 통해 1천t 규모의 저류조를 설치하고 워터미러와 빗물 정원 수로, 클린로드 등 친환경융복합시설을 조성했다. 도로변엔 식물재배 화분 7천328개소와 침투트렌치 170곳, 투수 블록 등을 설치했다.
국내 최초로 IoT 기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 시설의 운영 상태 확인 및 측정자료 실시간 전송으로 물관리는 물론 지속 가능한 최첨단 물순환 모니터링 기반 시설을 마련했다.
도시 단위 최초로 LID 기법을 도입한 안동은 물순환 도시사업을 통해 도심 내 불투수면적률 8.3% 저감과 함께 비점오염원 저감, 빗물 침투량 연간 약 31만t 증가, 여름철 도시 온도를 1.5℃ 낮추는 성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K-water 안정호 그린인프라부문장은 "안동시가 이번 사업을 통해 전국 최초의 물순환 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됐으며, 안동시를 시작으로 도시의 밝은 미래를 향한 또 다른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피재윤기자
행사는 물순환 선도 도시 조성을 기념해 국제 물순환 콘퍼런스와 물순환 솔루션 기술박람회가 함께 진행된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과 김형동 국회의원,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지자체 관계자, 시민 등 500여 명이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안동시는 환경부 정책에 따라 2016년 대전·울산시 등과 함께 물순환 도시로 선정된 후 410억원을 들여 저영향개발기법(LID)을 도입해 빗물이 자연적으로 흡수, 저장될 수 있도록 8년간 사업을 펼쳐왔다.
물순환 도시사업은 크게 공간과 도로로 구분하는데, 공간은 총 3곳으로 안동시청과 음식의 거리에 투수 블록을 설치, 빗물이 땅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해 물 고임 방지와 열섬현상 완화 등 도심 환경 개선에 주력했다.
탈춤 공원에는 빗물 재이용을 위한 특화설계를 통해 1천t 규모의 저류조를 설치하고 워터미러와 빗물 정원 수로, 클린로드 등 친환경융복합시설을 조성했다. 도로변엔 식물재배 화분 7천328개소와 침투트렌치 170곳, 투수 블록 등을 설치했다.
국내 최초로 IoT 기반 물순환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 시설의 운영 상태 확인 및 측정자료 실시간 전송으로 물관리는 물론 지속 가능한 최첨단 물순환 모니터링 기반 시설을 마련했다.
도시 단위 최초로 LID 기법을 도입한 안동은 물순환 도시사업을 통해 도심 내 불투수면적률 8.3% 저감과 함께 비점오염원 저감, 빗물 침투량 연간 약 31만t 증가, 여름철 도시 온도를 1.5℃ 낮추는 성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K-water 안정호 그린인프라부문장은 "안동시가 이번 사업을 통해 전국 최초의 물순환 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됐으며, 안동시를 시작으로 도시의 밝은 미래를 향한 또 다른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피재윤기자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