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봇 글로벌 혁신 특구 추진 계획(안). <대구시 제공> |
대구시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AI로봇'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네거티브 규제가 AI(인공지능)로봇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로봇 핵심거점이 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8일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지역 공모 선정 결과 대구(AI로봇)와 경남(우주항공), 대전(합성생물학)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첨단 분야 신제품·서비스 개발과 해외진출을 위해 우선 허용·사후규제(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되고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의 실증이 이루어지는 한국형 혁신 지구(클러스터)다.
지난해 고배를 마신 바 있는 대구시는 사업범위를 대구 전지역에서 첨단제조Zone(테크노폴리스·국가산단 등)과 AI혁신Zone(수성알파시티) 등 2대 혁신거점으로 특정했다. 또 기업 수요조사를 통해 의료·도로작업용 로봇 등의 규제를 발굴한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구시는 이번 지정에 따라 △2대 혁신거점 AI로봇 클러스터화 및 맞춤형 기업지원(BTS) △글로벌 진출 재정지원 △네거티브 규제 기반 실증특례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구는 비수도권 최대 로봇기업 및 IT·SW기업 집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테크노폴리스 중심의 로봇제조 및 실증(국가로봇테스트필드) 인프라와 수성알파시티 내 AI 관련 인프라(디지털혁신거점, SK AI데이터센터) 및 산학연 생태계가 구축돼 있어 AI와 로봇 기술융합 혁신거점이다.
글로벌 혁신특구 사업을 통해 하드웨어는 첨단제조Zone, AI기술을 접목한 제품고도화 소프트웨어는 AI혁신Zone을 중심으로 집적화할 방침이다.
또 지역혁신기관과 협력해 맞춤형 기업지원(BTS)을 추진한다. 맞춤형 기업지원은 성장단계에 따른 핵심역량을 확보한 후 제품고도화, 신속한 글로벌화를 통해 딥테크 유니콘을 육성하게 된다.
이밖에 해외 수요처 맞춤형 해외실증 지원, 해외 우수기업·연구기관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R&D를 지원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를 품은 대구가 올해 글로벌 혁신특구 유치를 통해 규제특례부터 해외진출까지 로봇성장 지원정책을 완결하는 국내 유일 로봇핵심거점으로 거듭나게 됐다"며, "글로벌 혁신특구를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대구를 AI로봇 유망기업, 연구기관, 인재가 모이는 글로벌 로봇 혁신클러스터로 발전시켜 가겠다"고 말했다.
홍석천기자 hongsc@yeongnam.com
홍석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