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가 '그린모빌리티' 실현을 위해 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대구 도심에서 트럭 한 대가 매연을 내뿜으며 주행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
![]() |
대구시는 전국 6대 광역시 중 최대 규모로 자동차 탄소중립포인트제를 운영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시는 올 한 해 자동차 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을 통해 대구시민 3천23명에게 인센티브 2억2천여만원을 지급했다.
자동차 탄소중립포인트제는 참여자가 자동차 주행거리를 감축해 온실가스 발생을 줄이면 감축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전 국민 온실가스 감축 제도다. 매년 2~3월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참여자를 모집한다. 참여대상은 비사업용 승용·승합차량(12인승 이하 )이고 친환경 차량(전기·수소·하이브리드 차량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참여 신청 후, 10월 말까지 약 8개월간 참여자별 감축 실적을 산정해 12월에 최소 2만원에서 최대 10만원 상당의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올해 대구시 참여 대수는 4천859대다. 지난해(4천143대) 대비 17% 늘었다. 인센티브 지급액 또한 약 2억2천만원으로 지난해(1억8천만원)대비 20%가량 증가했다.
대구시는 자동차 탄소중립포인트제를 통해 올 한 해 감축한 온실가스가 1천410t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숲 130㏊의 연간 탄소흡수량에 해당한다. 축구장(0.68ha) 규모의 숲 191곳을 조성한 효과와 맞먹는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30년생 소나무 숲 1㏊의 연간 탄소흡수량은 약 10.8t 상당에 달한다.
대구시는 2020년도 제도 시행 이후 2022년부터 꾸준히 6대 광역시 중 최대 예산규모와 최대 참여 대수로 탄소중립포인트제를 운영해오고 있다.
참여 대수가 많은 만큼 온실가스 감축량과 인센티브 지급 액수도 최고 수준이다. 이는 대구 시민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율을 반영한다고 시는 설명했다.
대구시는 "시와 시민들은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명실상부한 탄소중립 선도도시가 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라고 말했다.
◆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에 총력
대구시가 이처럼 자동차 탄소중립포인트제 확대에 큰 관심을 갖는 것은 기후위기 대응에 중요한 영역 중 하나가 바로 수송 부문이기 때문이다. 대구시가 올해 수립한 '제1차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대구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1%를 수송 부문이 차지하고 있다. 승용차 등록 대수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대중교통 분담률은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대구시는 2030년까지 '그린모빌리티 구축'을 목표로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도시철도 4호선 건설사업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 △대중교통 마일리지제도 운영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교통체계 구축 △전기자전거 보급 등의 과제를 추진한다. 탄소중립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이행기반을 확보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권두성 대구시 기후환경정책과장은 "대구는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체 배출량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를 감축하기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동시에 시민들의 공감대 확산과 참여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