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인구 감소 폭이 전국에서 가장 커, 경북 소멸이 가속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높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보다 적어 발생하는 자연 감소 인구가 작년에 12만명이나 됐다. 이 중 경북이 1만4천900명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많다. 특히 울릉군과 영양군은 출생아 수가 50명에 못 미쳐, 100명 단위로 집계하는 통계 기법상 출생아 수가 '0'명인 지역이 됐다. 출생아 수가 100명인 곳도 의성·청송·봉화·영덕·청도·고령·성주 7곳이다. 이들 지역도 머지않아 출생아 수 '0'명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경북의 전출인구는 전입 인구보다 8천3명이나 많았다. 자연 감소에다 구직 등의 이유로 경북을 떠나는 인구까지 겹치니 지역 소멸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대구도 자연 감소 인구가 6천700명, 순 유출도 4천712명으로 많긴 하지만 경북에 비할 바는 아니다.
지방의 인구 감소는 결국은 지방 소멸로 귀결된다. 경북의 인구 감소는 낮은 출산율에다 경제·교육·주거 등 여러 분야가 복합적으로 얽혀 나타난 결과다. 정부와 경북도뿐 아니라 일선 시·군까지 출산율을 높이고 젊은 층 유입을 위해, 출산 장려금 지급을 기본으로 하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귀농귀촌 지원 등을 표방하는 정책을 펴 왔다. 하지만 이들 정책들이 충분한 성과를 내지 못한 만큼 기존 정책을 총체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외지인 및 외지기업의 지역 진출에 걸림돌이 되는 행정 규제는 없는지도 다시 한번 챙겨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빠르게 진행 중인 지방소멸을 막을 골든 타임조차 놓칠 수 있다.
지방의 인구 감소는 결국은 지방 소멸로 귀결된다. 경북의 인구 감소는 낮은 출산율에다 경제·교육·주거 등 여러 분야가 복합적으로 얽혀 나타난 결과다. 정부와 경북도뿐 아니라 일선 시·군까지 출산율을 높이고 젊은 층 유입을 위해, 출산 장려금 지급을 기본으로 하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귀농귀촌 지원 등을 표방하는 정책을 펴 왔다. 하지만 이들 정책들이 충분한 성과를 내지 못한 만큼 기존 정책을 총체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외지인 및 외지기업의 지역 진출에 걸림돌이 되는 행정 규제는 없는지도 다시 한번 챙겨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빠르게 진행 중인 지방소멸을 막을 골든 타임조차 놓칠 수 있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