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선고 임박’ 관측에 결다른 여론전…與 당원 결속 vs 野 신속

  • 정재훈
  • |
  • 입력 2025-03-17  |  발행일 2025-03-18 제5면
헌재 선고 임박 관측에 여야 서로 다른 여론전
국민의힘 당직자연수 열고 “李 당선시 당 궤멸”
민주당은 헌재 조기 선고 압박하며 거리 투쟁
尹 ‘선고 임박’ 관측에 결다른 여론전…與 당원 결속 vs 野 신속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국 시·도당 및 당원협의회 주요당직자 연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尹 ‘선고 임박’ 관측에 결다른 여론전…與 당원 결속 vs 野 신속

'윤석열 탄핵 국회의원 연대' 민주당 박수현 의원 등 소속 의원들이 17일 서울 광화문 앞 단식 농성장에서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판결 촉구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17일 정치권에선 치열한 여론전이 벌어졌다.

다만 여당의 경우 당직자를 대상으로 '조기 대선'을 대비한 전열 정비, 야당은 신속한 파면을 요구하며 거리에서 '투쟁'을 벌여 각론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국민의힘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시·도당 및 당원협의회 주요 당직자 1천여명을 대상으로 연수를 진행했다. 이는 탄핵 인용 시 조기 대선 가능성에 대비, 지역 조직 정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인사말에서 “똘똘 뭉쳐서 우리가 반드시 승리할 수 있도록 권성동 원내대표와 당직자들이 전략을 세우고 노력하고 있으니 만족스럽지 않고 좀 의아하더라도 당 지도부를 믿고 따라달라"고 말했다.

김상훈(대구 서구) 정책위의장도 “대한민국의 명운을 건 큰 승부를 치러야 할 때가 올지도 모르겠다"며 “여러분들 다시 한번 힘을 보태달라"고 말했다. 이들 모두 조기 대선을 염두해 둔 발언으로 해석될 수 있어 눈길을 끌었다.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특강에서 권성동 원내대표는 “만에 하나 이재명이 대통령이 된다면 대한민국은 히틀러의 나라가 될 것"이라며 “한 사람이 입법, 행정, 사법권을 모두 장악할 위험성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권이 들어서면 야당 탄압, 언론 통제, 사법부 장악이 현실화할 것"이라면서 국민의힘 중앙당사나 시도당이 압수수색을 당해 궤멸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분열이 아니라 단결이며 보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모든 당원과 당직자들이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단합을 주문했다.

반면 야당은 이날 헌재를 향해 신속하게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내려야 한다는 데 주력했다.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진영 간 대결 양상이 심화하고 국민 불안이 가중되는 만큼 헌재가 이를 신속하게 해소해야 한다는 논리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헌재는 당장이라도 선고기일을 지정하고 내란 수괴 윤석열을 파면함으로써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확인해달라"고 촉구했다.

이같은 헌재 압박에 대해선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과가 26일로 예정된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2심 선고보다 늦게 나오는 상황을 우려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 대표가 1심과 마찬가지로 2심에서 의원직 상실형을 먼저 받게 되면 윤 대통령 탄핵 기각을 압박하는 극우 세력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이는 당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날 민주당은 지난주부터 시작된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도보 행진'을 지속하는 한편, 광화문에서 열린 시국선언에도 동참하는 등 탄핵 인용 여론전에 당력을 집중했다.

여아는 헌재 판단 '승복'을 두고도 서로 공세를 취했다. 국민의힘은 전날 헌재 판단에 승복한다는 당 차원의 메시지를 낸 뒤 민주당 이 대표를 향해 승복 메시지를 낼 것을 거듭 요구했다. 반면 민주당은 관저에서 칩거 중인 윤 대통령이 직접 승복 메시지를 내야한다고 압박하며 맞섰다.

한편 헌재는 18일 박성재 법무부 장관 탄핵심판 첫 변론기일을 연다. 정치권은 박 장관 탄핵 소추가 윤 대통령 탄핵 사안과도 맞닿아 있는 만큼 변론 내용이나 절차가 대통령 탄핵심판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 장관은 12·3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에 참석해 적극적으로 반대 의견을 표하지 않아 계엄 결정에 관여했단 의혹으로 탄핵 소추된 바 있다.


기자 이미지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