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연합뉴스.
중앙·지방 고위공직자 2천47명의 지난해 말 기준 1인당 평균 재산은 20억6천314만원으로 집계됐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재산은 87억원이었으며, 윤석열 대통령은 예외 사유에 해당돼 신고하지 않았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등을 대상으로 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직윤리시스템(PETI)과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중앙부처는 장관과 대학 총장 등 838명, 지방자치단체는 광역·기초단체장과 시·도립대 총장 등 1천209명이 신고 대상이다.
재산공개 대상자 중 70.3%(1천440명)는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증가했고, 29.7%(607명)는 줄었다. 재산 규모별로는 △20억원 이상은 31.5%(644명) △10억∼20억원 29.8%(610명) △5억∼10억원 18.2%(373명) △1억∼5억원 17.2%(352명) △1억원 미만 3.3%(68명)로 나타났다. 주요 재산 증가 요인은 급여 저축을 포함한 순재산 증가가 86%(5천349만원),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 등에 따른 가액 변동이 14%(852만원)로 조사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재산 규모를 신고하지 않았다. 신고 기간에 구금 등으로 신고가 어려운 경우 유예받을 수 있는 조항에 따른 것이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 12·3 비상계엄 사태로 구속 수사를 받는 군사령관들도 같은 이유로 유예 신청이 된 상태다.
대통령실의 수석비서관급 이상에서는 홍철호 정무수석이 261억3천79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장호진 외교안보특별보좌관 160억3천983만원,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148억3만원, 성태윤 정책실장 101억4천249만원 등이었다.
내각에서는 한 권한대행이 지난해보다 3억8925만원이 증가한 87억39만원을 신고했고,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77억3천500만원을 신고해 내각에서 최고액을 기록했다.
전체 신고 대상자 중 재산총액 1위는 이세웅 행정안전부 평안북도지사로 1천46억8천588만원을 신고했다. 2위는 조성명 서울시 강남구청장으로 482억507만원을, 3위는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으로 477억6천129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광역자치단체장별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74억여 원, 박형준 부산시장 58억여 원, 홍준표 대구시장 42억여 원이었다. 이어 김진태 강원지사 39억여 원, 김동연 경기도지사 35억여 원, 이장우 대전시장 28억여 원, 김관영 전북지사 26억여 원, 김영록 전남지사 26억여 원, 박완수 경남지사 20억여 원, 김두겸 울산시장 19억여 원, 이철우 경북지사 19억여 원 순으로 파악됐다.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