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농축산 산불피해 복구비 보조율·단가 상향 정부에 건의

  • 박종진
  • |
  • 입력 2025-04-11  |  수정 2025-04-11 07:39  |  발행일 2025-04-11 제10면
농가 최대지원금 상한액 확대대체 임산물 사업 추진도 요청
경북도가 산불 피해를 입은 농축산 분야 재해 복구비 보조율을 상향하고 지원 단가를 높여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물가상승을 감안해 농가 최대지원금 상한액을 늘리고, 송이버섯 피해 지역에는 대체 임산물을 키울수 있는 사업 추진도 함께 요청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지역 5개 시·군으로 번진 산불로 농축산 분야에서 1천726억원의 피해가 난 것으로 추산됐다. 농작물 632억원, 농기계 438억원, 가축·축사 302억원, 농업시설 등 354억원이다. 농작물의 경우 3천862㏊(사과 3천401㏊, 자두 236㏊, 마늘 50㏊, 복숭아 44㏊, 인삼 12㏊, 양파 5㏊ 등)가 피해를 입었고, 농기계는 1만883대가 소실됐다.

또 부대시설 2천411동, 시설하우스 783동, 농산물 유통·가공시설 7곳, 축사 235동, 축산창고 29동이 불에 탔다. 가축 피해는 한우 281마리, 돼지 2만5천34마리, 닭 17만4천27마리, 양봉 1만3천740군(벌통)에 이른다. 경북도는 피해 농가가 하루빨리 생산 기반을 회복하도록 시설, 가축, 농작물 등의 피해 현황을 정밀하게 조사 중이다. 중앙정부와 행정절차 간소화 등도 협의 중이다. 통상 지자체 피해조사 완료 후 정부의 복구계획 확정까지 두세달이 걸리는 것을 1개월 이내로 단축하기 위해서다.

재해복구비 단가와 지원율 개선도 요청한 상태다. 현재 농기계· 농축산시설 보조율은 35%이며, 지원단가 역시 실거래가의 30~55% 수준이다. 더욱이 지원 가능한 농기계도 11종으로 한정돼 있다. 농작물을 다시 심는 비용(대파대)과 가축을 새로 들이는 비용(입식비) 보조율도 현행 50%에서 상향해 줄 것을 제안했다. 이외에도 농가 최대지원금 상한액 확대와 농어업 재해 생계비 지원 기간 연장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이와함께 도는 송이버섯 주산지에서 다시 송이를 채취하는 데 오랜 기간이 걸리는 만큼 대체 소득 임산물 조성사업도 건의했다. 송이 대신 두릅이나 치나물 등 산나물류를 키울수 있도록 종자대부터 관련 시설 구축까지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의 송이 채취량은 전국의 43%를 차지한다. 특히 영덕은 국내 송이 채취량의 30%를 차지하는 최대 산지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