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의 2025년 1차 정기회의가 열리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가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찬성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대구자치경찰위는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대구자치경찰위에 따르면, 국민권익위와 함께 전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여론조사 전문기관이 대구시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모두에서 응답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대구자치경찰위와 국민권익위는 지난 4월 온라인 소통플랫폼 '국민생각함'을 통해 전국 1천995명을 대상으로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의 82.0%가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에 찬성했다. 찬성 이유로는 교통흐름 개선(64.1%)과 불필요한 단속 감소(35.1%)가 가장 많이 꼽혔다.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어린이 통행량(46.1%), 차량 통행량(27.7%) 등의 답변이 나왔다.
또 이달 여론조사 전문기관(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대구시민 1천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설문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의 86.1%가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에 찬성했다.
대구시민 역시 교통흐름 개선(27.0%)과 어린이 등하교시간 집중 관리(32.1%)를 주요 찬성 이유로 꼽았으며, 도입 시 고려사항으로 어린이 통행량(50.3%), 불법주정차 단속 건수(20.1%), 차량통행량(13.3%) 등을 우선적으로 선택했다.
국민 및 시민대상 설문조사 결과 모두 어린이 통행량과 차량 통행량이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 시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꼽혔다.
이는 실제로 어린이 교통사고가 주로 등하교 시간대와 어린이 통행이 많은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자치경찰위는 설명했다. 어린이 통행이 많은 시간에는 속도를 낮춰 안전을 확보하고, 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에서는 야간 등 어린이 통행이 적은 시간대에 한해 속도를 완화해 시민 불편을 줄이자는 현실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라는 것.
대구자치경찰위는 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을 본격 추진한다. 경찰서별로 추천받은 후보지를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검토하며, 도로 구조와 사고 이력, 차량 및 어린이 통행량, 주민여론, 학부모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최종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또한 주민과 학부모 의견을 적극 반영해 지역 실정에 맞는 시간대와 제한속도를 적용하고, 어린이 교통안전시설 보완 등, 어린이 교통안전을 더 강화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이중구 대구시 자치경찰위원장은 "국민과 대구시민 모두 80% 이상의 찬성 여론을 보이며, 시간제 속도제한 도입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며, "시민 의견과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어린이 안전과 교통흐름 개선을 모두 잡는 정책으로 추진하겠다. 내년부터는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