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포스코이앤씨 송도사옥에서 포스코이앤씨·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들이 업무협약을 맺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포스코이앤씨 제공>
포스코이앤씨가 국립산림과학원과 손잡고 탄소 저감형 하이브리드 건축 기술 개발에 나섰다.
두 기관은 18일 포스코이앤씨 송도사옥에서 국산 목재와 강건재를 결합한 구조 기술을 공동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녹색건축 기술 확보와 국산 목재 활용 확대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담고 있다.
목조건축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이 적은 친환경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를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방식으로 활용되며, 구조 안전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 가치가 크다.
포스코이앤씨는 이런 흐름에 맞춰 수직 증축 리모델링과 커뮤니티 시설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본격 개발한다.
양 기관은 ▲공동주택 유형별 목구조 설계모델 개발 ▲목재·강건재 결합 건축 부재 ▲시범사업 등 다각적 접근을 통해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를 통해 목재 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탄소 저감 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이앤씨는 그룹 차원의 강건재 기술력과 연계해 맞춤형 강건재 생산과 공급 시스템도 병행할 방침이다. 구조물 하중 경감과 기존 건축물 기초 보강 최소화를 목표로 한 기술은 수직 증축 리모델링 현장에서도 실용성이 높다.
장기적으로는 실버주택과 타운하우스 등 고급 노출형 목재 상품 수요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중고층 목조건축 기술의 설계·시공 기술력도 확보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복안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자재 생산부터 운송, 시공 이후의 운영까지 건축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접 탄소배출까지 고려한 저감 기술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