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가 마트에서 계란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계란 가격 급등에 대응해 정부가 제과·제빵용으로 사용되는 계란가공품 할당관세 물량을 1만t으로 확대하고, 대형마트에 공급되는 계란의 납품단가 인하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9월 이후 계란 생산이 안정될 것으로 내다보고,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전담팀(TF)'을 통해 수급 안정과 구조 개선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물가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먹거리 물가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농축산물 및 식품·외식 등 품목별 수급대책을 논의하고 물가 불안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는 농축산물 유통구조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TF'를 구성한다"고 밝혔다.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TF는 각 담당 국·과장으로 구성된 3개 분과가 유관기관, 학계 전문가, 생산자단체 등과 함께 수급 안정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체다. 이를 통해 월 단위로 주요 품목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하고 중장기적 유통구조 개선책 마련도 추진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또 가공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오는 30일자로 종료되는 과일칵테일 등 식품원료 4종에 대해서는 할당관세를 연말까지 연장하고, 음식점업 외국인 근로자(E-9) 도입 조건 완화 등으로 외식업체의 비용 부담을 완화할 예정이다.
여름 배추 수급 안정대책도 내놨다. 농식품부는 여름 배추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농협 및 산지유통인을 대상으로 사전 수매계약 4천t을 체결해 8~9월 출하 물량 확보를 유도한다.
최근 가격이 급등한 계란과 브라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으로 인해 수입 공백이 발생한 닭고기 등 축산물 물가 안정에도 나선다. 농식품부는 계란 생산 확대를 위해 산란계 생산기간 연장(평균 84주령→87주령)을 유도하고 안정적으로 계란이 생산될 수 있도록 생산자단체와 협업해 비타민·영양제 투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경모(세종)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